한국상담학신문/사춘기심리학

[박경은 센터장의 심리 이야기] '괜찮아, 괜찮아'라고 말하는 딸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2018. 5. 17. 13:30
728x90
SMALL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Q 사춘기도 없이 넘어갈 만큼 조용하면서 밝은 성격을 가진 고등학교 2학년 딸입니다. 어릴 때부터 손이 가질 않을 정도로 착했습니다. 저는 딸이 '엄마, 나는 괜찮아.'라고 말하는 것이 가끔 화가 납니다. 도대체 뭐가 괜찮다는 것일까? 그래서 여러 차례 물어보기도 했습니다. 만사 좋고 괜찮다고 합니다. 제가 딸을 이해하고 싶은데 도움을 청해봅니다. 



A 듣기만 해도 딸의 평온함이 느껴집니다. 이렇게 생각해 보시면 어머니 마음이 좀 편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딸이 가지고 태어난 그릇이 크다고 생각해 보시면 어떨까요? 이것을 뇌량으로도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릇이 큰 사람은 가식이 아니라 정말 괜찮을 수 있습니다. 그만큼 수용, 포용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일반화, 평준화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 한 가지는 이런 경우도 있습니다. 어머니께서 일상생활 속에서 '엄마는 괜찮아.'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시는지도 살펴보시면 어떨까요? 다른 사람의 관계에서 혹시 어머니께서 만사 '오케이'라고 대답하고 있지는 않는지도 생각해 보시면 딸은 학습 될 가능성도 찾아볼 수 있을 듯합니다. '이중메시지'에 관한 내용을 써보려 합니다. 어머니께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김소월님의 '진달래꽃'에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라는 표현은 반어적으로 사용됩니다. 즉, 속마음은 '가지 말아요.'이고 붙잡고 싶지만, 겉으로는 쿨하게 보입니다. 자신의 진심과는 반대로 말하는 것을 '반어'라고 합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놀라운 알아차림의 경험이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을 만나고 난 후 집에 들어오면 뭔지 모를 혼란에 빠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 혼란스러운 이유를 알지 못했습니다. 그 원인은 '이중메시지의 여왕이었구나.' 생각하며 무릎을 치는 순간, 많은 날들의 혼란스러움이 편해졌습니다. 그리고 '이중메시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참 무서운 의사소통이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시어머니께서 '며느리야, 이제 청소 그만하고 쉬어.'라고 말했는데, 그 말을 그대로 듣던 며느리는 '예, 어머니'라고 했습니다. 나중에 시어머니께서 '재는 청소도 안 하고 잠만 잔다.'고 말을 합니다. 이러한 경우는 너무나 많습니다. 



더 쉽게 표현해 보면, '어머니, 드시고 싶으신 거 있으세요?'라고 묻자 '아니다, 내가 이도 없고 틀닌데, 뭐 먹고 싶은 게 있겠니.'라고 하셔서 어죽을 먹으러 갔다 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머님의 말씀은 '나 어죽 싫어하는데 죽만 사주는지 원...' 이런 경우는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도 더 흔히 일어납니다. 



연인 관계에서도 이중메시지는 허다합니다. '나는 네가 참 좋은데, 만나는 시간이 길어지면 두렵고 불안해, 요즘 네가 화를 잘 내잖아.', '내 마음은 너한테 항상 달려가고 싶지. 내 맘 알지?', '종일 너 생각 많이 하고 있어.', '선물 안 사줘도 괜찮아. 마음 충분히 알아.', '보고 싶은데, 너 피곤하니까 담에 봐.' 등등 대화 속에서 많이 드러납니다. 마치 마그마가 펄펄 끓어서 화산 폭발하는 것과 같습니다. 



사람을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무엇이 그 사람의 진짜 마음일까?'를 수없이 생각해 봤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둘 다 맞다.'라는 것입니다. 더 중요한 사실은 둘 다 맞지만, 더 이상 이중메시지를 사용해서 상대방의 마음을 혼란스럽게 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관계 정리'는 더 신중하게 질문을 던져보시고 선택하셔야 합니다.



이중메시지를 일상생활의 모토(Motto)처럼 사용하는 사람은 그럴만한 이유가 분명 있습니다. 이중메시지의 다른 표현은 이중구속(Double binding)입니다. 사람을 이렇게도 묶어놓고 저렇게도 묶어놓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메시지의 어원은 그레고리 베이트슨에 의해 1956년에 소개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의사소통의 본질에 대해서 연구했던 베이트슨은 병리적 가족의 의사소통에서 이중구속의 의미를 깊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중메시지의 기원은 인류의 역사만큼 오래되었습니다. 특히 이중메시지는 정신분열증과의 관계를 많이 다루기도 했습니다. 정신분열증 환자 부모들을 보면 그들은 한결같이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불일치하다는 근거 자료들은 너무나 많습니다. 



관계, 소통이 중요하다는 말을 너무도 많이 듣습니다. 그러나 이런 이중메시지를 사용하는 관계는 더 이상 관계가 지속되지 않음을 아셔야 합니다. 더 갈등을 야기할 수 있음을 빨리 알아차리고 자신의 의사소통 방법을 바꾸셔야 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 안에서 자신에게 사용하는 이중메시지를 찾아보시면 자신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혹은 가족 안에서 무엇을 원하는지를 분명하게 드러날 것입니다. 두려움 때문에, 불안 때문에 사용할 수밖에 없는 자시의 방어로써 사용했던 이중메시지. 혹은 이중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 자연스러워서 원래의 자신의 모습을 잊어버린 사람들. 어쩌면 타인이 아니라 바로 '나'가 이중메시지의 주범일 수도 있다는 사실은 소름 끼칠 수 있으시겠지만, 자신을 탐색해 보면 좋겠습니다. 



이제는 그 옷을 벗어버리고 싶지는 않으신지요?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에 겁내지 마십시오. '나 약한 사람이야.', '난 네가 떠나는 게 정말 무섭고 두려워. 그리니 가지 마.', '나 발표할 때 많이 떨려, 내 손 좀 잡아줘.' 솔직한 표현에 어느 누구 하나 손가락질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 모습 그대로가 정말 아름답고 사랑스럽지 않을까요? 


written by 박경은(대전 가득이 심리상담센터장)

평택대 상담학 박사과정

지문진로탐색 성격유형분석가

지문심리상담사

지문진로코치

도형심리상담사

MBN 황금알 방송 출연

KBS 아침마당 출연

KBS 다정다감 출연

MBC 라디오방송 출연



-한국상담학신문-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휴 및 강의문의: 010-2788-3025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