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정신분석용어] 경계선 인격 장애 본문

상담심리학용어/정신분석학용어

[정신분석용어] 경계선 인격 장애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2018. 1. 28. 08:51
728x90
SMALL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경계선 인격 장애(Boderline Personality Disord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이런 용어가 몇 백년 된 것 같지만, 사실은 100년이 안 된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1953년도에 정신분석가였던 로버트 나이트(Robert Knight)가 '경계선 상태(Boderline States)'라는 글을 쓰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사실 1940년대부터 이미 로버트 나이트는 '경계선 장애'에 관한 개념을 소개했었습니다. 하지만 뭔가.. 논문이나 책이나 학회지에 떡~하니 제목으로 발표를 하지 않으면 인정을 잘 하지 않기에 그 전에 아무리 여러 방식으로 소개를 많이 했어도, 1953년을 '경계선 인격 장애'라는 용어의 시작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보통 "정신이 하는 기능(mental functions)이 뭘까요?"라고 질문을 하면 애매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미 1940년대에 자아심리학(ego psychology)에서는 세상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일들(events)을 생각과 감정이 성공적으로 통합해서 우리 주변의 삶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정신 기능을 말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효과적으로 발전키켜야 할 정신 기능에 장애가 생긴 상태를 바로 '경계선 상태'라고 부릅니다. 조금 어렵게 이야기 했죠?^^ 좀 더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상적인 상태와 비정상적인 상태의 중간 상태입니다. A라는 지금이 있고 그리고 B라는 지점이 있습니다. 근데 그 사이에 애매한 가운데 지점에 있으면, 이걸 A라고 말하지도 못하고 B라고 말하지도 못합니다. 그래서 '경계선(Boderline)'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신이 문제가 있는 것을 '정신증(psychosis)'이라고 부릅니다. 근데 정상적인 사람은 이 단어 앞에 '비(非 = 아니다)'라는 글자를 붙입니다. 정상회담 앞에 비를 붙여서 비정상회담이라고 하는 것과 같이, 비정신증(정상인의 상태) 상태에서 정신증(비정상인) 상태로 넘어가면서 무너지는 과정에 있는 것을 경계선 상태라고 합니다.


음... 신경쇠약과 같은 신경증(Neurosis, 아래에 설명 좀 더 해 놓겠습니다!)증상도 안 보이고 뚜렷한 정신불열증(지금은 조현증이라고 부릅니다. 조현증은 제가 유튜브에 동영상으로 설명도 잠깐 했는데요. 아래에 유튜브 주소를 적어 놓겠습니다.)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애매한 경계선에 있는 그런 환자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용어를 뜻합니다. 

신경증(neurosis)은 1777년에 스코틀랜드 사람인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인 윌리엄 쿨렌(william cullen)처음 도입해서 사용되었습니다. 참.. 어떤 용어든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가 너~무~ 궁금하긴 합니다^^ 아무튼 '뉴로시스(neurosis)'라는 신경증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신경(nerve)'의 뜻을 가진 'neuron'에서 온 말입니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상태를 뜻하는 라틴어인 'osis'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이 둘을 합치면, 신경이(neuron)비정상적인 상태(osis)인 것입니다. 잘 만들었죠?^^ 이렇게 신경증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지고 그 이후에 우리가 잘 아는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독일어로 '현재'를 뜻하는 'aktual'이라고 실제신경증이라는 용어로 사용을 또 했습니다. 여기까지만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더 길어지면 '신경증' 걸릴 것 같습니다.^^

조현증(schizophrenia)는 조율하다의 '조'와 줄을 뜻하는 '현'이 합쳐진 말입니다. 줄이 조율이 안 되는 증상입니다. 줄? 우리 몸이 줄로 되어있거든요. 마치 악기처럼! 영상으로 한번 들어보시기도 하셔요~  https://youtu.be/KMPBAve2n2o   


경계선 인격 장애의 문제점에는 4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1) 현실 검증 능력 2) 모순되는 성격 3) 자아 분열 4) 자기 개념의 불안정성 이러한 구분조차 1967년에 컨버그(Kernberg)가 경계선 인격 조직으로 좀 넓게 정의를 해서 그렇지, 사실 경계선이라는 증상은 이리로 저리로 뻗어 나가는 퇴행적 문제점이라 너무 많은 인경장애가 혼합되어 있고 복합적으로 나타납니다. 알코올중독, 성도착, 자기애적 인격 장애, 분열성 인격 장애, 반사회적 인격 장애 이런 장애들이 주변에 기다리고 있으면서 언제든 손을 내밀고 있기 때문에 경계선 인격 장애의 심리적 구조는 뭔가 '이것이다!'라고 하기에는 시원하지가 않긴 합니다. 대상관계 이론가들은 특히 메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은 경계선 인격 구조를 분열성 인격(schizoid personality)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니.. 공부하시는 분들조차 어려워합니다. 그렇기에 경계선 인격 장애를 진단하는 것도 오랜 시간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경계선 인격의 문제는 단 한순간의 문제에서 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치료하고 회복하는데도 그 만큼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부드럽고 계단을 차근차근 올라오게 만들면서 건강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10년 넘게 마음이 아파 쪼개지고 갈라지다가 나눠진 인격인 경계선 인격 장애가 어찌 몇 달만에 치료나 회복이 될까요. 절대로 그렇게 쉽게 회복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가족이 이러한 장애를 가졌다면, 온 가족이 힘을 합쳐서 몇 년 아니 평생을 도와 함께 달려가야 합니다. 가족의 시스템 자체가 바뀌지 않으면, 절대로 회복이 쉽게 이뤄지지 않습니다. 눈을 감고 눈을 뜨는 하루의 삶 자체의 구조가 건강하게 바뀔 수 있도록 생각, 감정, 행동이 변화되어야 합니다.   

written by 이재연 교육학 박사(상담사회교육전공)
한국상담학신문사 대표
행복한 심리상담연구소장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상담사회교육전공 교수
한국청소년지도학회 상임이사
전) 대신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교수

-한국상담학신문(등록번호 265-21-00636)-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휴 및 강의 문의: 010-2788-3025


LI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