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논문통계를 위한 수학공부(2)] - 통계란 무엇인가? 본문

카테고리 없음

[논문통계를 위한 수학공부(2)] - 통계란 무엇인가?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2018. 12. 18. 10:44
728x90
SMALL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논문통계를 위한 수학공부]


우선! 논문통계를 이해하려면 가장 먼저 '통계'라는 개념에 대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도대체 통계가 뭘까요?


통계가 영어로 'statistics'입니다. 어디서 많이 듣거나 보셨죠? 


이상심리학 배울 때 DSM-5에 대해서 약어로 배울 때 들었을 것입니다.


DSM이라는 것은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이라고 합니다.


정신질환 + 진단 + 통계 + 편람


자!!! 이것을 영어로 해 보겠습니다. 


The Diagnotics(진단) and


Statistical(통계)


Manual(편람)


of Mental Disorders(정신질환)


이 것의 약자를 딴 말이 바로 DSM 입니다.


더군다나 마지막에 정신질환이라는 표현은 DSM 뒤에 생략되어 있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심리학에서 정신질환을 분류하고 진단하는 기준인 DSM은


통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논문통계를 위한 수학공부]


통계는 모으고 모아서 수집한 자료(data)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자료라는 영어 data는 복수 개념입니다.


원래 자료 하나는 datum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자료는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의 복수 개념이라


data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자료만 많이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든 정리하고 분석하면


통계가 나온다는 것입니다.

[논문통계를 위한 수학공부]


통계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바로 자료 정리입니다.


자료를 정리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것이 바로 


1. 평균

2. 비율

3. 그래프


이 세가지 입니다.


무조건 논문통계에서 평균, 비율, 그래프에 대해서는 절대적인 기초개념입니다.


평균값

비율!!!

그래프


근데 여기서 평균이랑 그래프는 아는데 비율에 대해서 시원하게

답을 하는 학생들이 많지 않았습니다.


비율은 뭘까요?


비율은 기준량에 대해서 비교하는 양의 크기입니다. ^^ 어렵다고요?


자!! 더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논문통계를 위한 수학공부]


우리가 농구 경기를 하면 A팀과 B팀의 점수가 있지요? 


80대 92


뭐 이런 식으로 두 팀의 점수를 비교하잖아요? 


그럼 위 점수의 차이가 12점이나 나죠? 


이렇게 단순히 두 팀의 점수를 비교하는 것은 비율이 아니고


'비'입니다.


이렇게 서로의 수를 비교할 때는 어느 것은 먼저 쓰느냐가 중요합니다.


92대 80 이렇게 이야기 하는 것과


80대 92 이렇게 하는 것


감정 싸움 나겠죠? ㅋㅋ


보통 우리 나라랑 일본이 경기를 했다!


당연히 우리나라 점수를 앞에 놓습니다.


대부분 이렇게 단순히 비교를 할 대는 이렇게 앞에 놓고 뒤에 놓는 기준이 존재합니다.


[논문통계를 위한 수학공부]


자 그런데 위에 처럼 단순히 '비'가 아니고 '비율'일 때는 다릅니다.


비율은 진짜 잘 들어야 합니다. 


'비'라는 글자에 '율' 하나 붙었지만 그 개념은 복잡다면 복잡할 수 있습니다.


자!!!


다시한번 비율의 정의를 내려보겠습니다. 


[비율이란 '기준량에 대한 비교하는 양의 크기'입니다.]


여기서


비교라는 단어 양 옆에 '기준량'과 '양의 크기'라는 말 때문에 머리가 복잡하죠? ㅋㅋ


기준량이 뭔지 알아야 합니다.


기준량은 정확히 정해져 있는 양을 말합니다.



 축구를 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우리가 일본을 5대 2로 이겼습니다. 


그러면 


5:2로 표현을 하면 '비'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런데 이 때 5와 2 사이에 기호(:)를 사용했지요? 이게 바로 '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때 앞의 수는 비교하려고 하는 양!

이 때 뒤의 수는 기준량!


이렇게 구분합니다. 


아시겠죠? 


무조건 비교하는 양과 뒤에 있는 기준량을 해햐 합니다. 

만약에 지금 여기부분을 이해 못했다면 10번을 더 읽으면서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해할 때까지!!!!!!!


자!! 그럼 비율은 도대체 뭐냐고요? ^^


비율이라는 단어는 견주다 비와 비율 율 이라는 단어가 합쳐진 것입니다. 


그러니!!


위에 기호(:)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무조건 분수 개념을 사용해야 합니다. 


분자 / 분모 아시죠? 


분자는 위로

분모가 아래로


이렇게 표현을 하는 것이 바로 비율입니다. 


그러면 위에 5대 2로 이긴 것을 비율로 나타내면 어떻게 될까요? 


5(비교하는 양)

2(기준량)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일본이 2골 넣을 때 우리는 5골을 넣은 것이죠!!!!


이것이 바로 비율입니다!!!


절대로 이 용어를 잊으심시면 안 됩니다!!!


기준량과 비교하는 양!!!

LI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