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신경발달장애
- 대상관계이론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김호중팬클럽
- 김호중칼럼
- 부모교육
- 독서심리상담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독서심리치료
- 김호중방송
- 김호중노래
- 문학심리치료
- 심리치료
- 김호중아리스
- 시치료
- 김호중
- 독서상담
- 심리학실험
- 독서치료
- 이재연교수
- 상담학용어
- 김호중할무니
- 특정학습장애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부부심리상담
- 심리상담
- 부부의세계
- 부부심리치료
- 부부의세계김희애
- Today
- Total
목록상담심리학용어/정신분석학용어 (5)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생물-문화적 설명, 생각과 경험, 과학과 인문의 전체 설명. 아인슈타인의 말. 어떤 플라시보 현상에 대한 해결책은 그 문제를 일으킨 생각의 틀 속에 머무르는 한 절대로 나오지 않는다. 철학자 다니넬 데니시의 말. 배움과 돌돔의 3가지 자세가 있다. 1. 물리적 자세 2. 구조적 자세 3. 지향적 자세 물리적 자세(1대1 관계 = 인과관대를 직선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몸음 기계이고 질병은 그 기계의 고장이다. 이것이 바로 물리적인 자세입니다. 구조적 자세(현상을 하나가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의 연결로 보는 관점)에 대해 알아보면, 사회, 생물, 심리적으로 보는 관점입니다. 지향적 자세(시간의 관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생애의 시간, 세포의 시간, 분자의 시간. 즉 우리 몸 속에는 분자..

방어기제라는 것은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이나 행위를 가리키는 정신분석적 용어입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면! 삶을 사는 동안에 여러 가지 이유로 감정적인 상처를 입게 됩니다. 그런 상처를 입는 순간에 감정적 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 적으로 2가지 작동을 일으킵니다. 1. 자동생각 2. 자동 행동 이렇게 두 가지의 자동 메커니즘을 작동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방! 어! 기! 제!'라고 합니다. 이솝우화에 보면 '여우와 신포도'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여우가 길을 가다가 높은 가지에 매달린 포도를 보고 그 포도를 먹고 싶다는 욕심에 몇 번이나 힘껏 높이 뛰지만, 포도에 발이 닫지 않아 실패합니다. 결국에 여우는 포도 따먹기를 실패하고 돌아갑니다. 이때 여..

프로이트 - 실천적인 방법. 꿈에 대한 견해를 총체적으로 정리하여 출간한 책이 바로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입니다. 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마음의 지도와 영혼의 지도를 그릴 수 있다는 내용이 담긴 책입니다. 프로이트보다 19살 어린 칼 구스타프 융은 프로이트를 정말 좋아했습니다. 프로이트가 무의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정신분석학 이론을 만들고 있을 때, 융은 프로이트 이론이 맞다고 생각했고 그들은 드디어 만납니다. 1906년에 편지를 교환하기 시작하면서 1907년에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둘은 만나게 됩니다. 1910년에 국제정신분석학회(IPQ)를 설립하고, 융이 학회장을 맡게 됩니다. 하지만 협회를 만든지 2년도 안되어서 융은 프로이트의 성 이론에 대한 회의감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융은 자신의 이론을 제..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경계선 인격 장애(Boderline Personality Disord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이런 용어가 몇 백년 된 것 같지만, 사실은 100년이 안 된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1953년도에 정신분석가였던 로버트 나이트(Robert Knight)가 '경계선 상태(Boderline States)'라는 글을 쓰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사실 1940년대부터 이미 로버트 나이트는 '경계선 장애'에 관한 개념을 소개했었습니다. 하지만 뭔가.. 논문이나 책이나 학회지에 떡~하니 제목으로 발표를 하지 않으면 인정을 잘 하지 않기에 그 전에 아무리 여러 방식으로 소개를 많이 했어도, 1953년을 '경계선 인격 장애'라는 용어의 시작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입..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21-00636)에서 발행하는 기사입니다. 1. 강박사고(obsession): 사전적 의미 정신분석학에는 '강박사고'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강박' 이 글자부터 파해쳐 보겠습니다. '강박'의 강은 '강하게 하다'라는 뜻입니다. '박'은 '핍박하다', '닥치다', '줄어들다'라는 뜻입니다. 강박의 의미는 '강하게 핍박하다'라는 뜻입니다. 하나의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심리적인 압박을 받는 느낌인 것입니다. 물론 생각과 감정 모두가 압박을 받는 느낌에 사로 잡혀 있는 것입니다. 근데 대부분은 사고에 사로 잡힌 것이라고 여겨서 '강박사고'라고 하지 '강박감정'이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2. 강박사고(obsession): 영어 의미 강박사고는 영어로 obsession입니다. 영어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