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김호중방송
- 대상관계이론
- 부부심리상담
- 특정학습장애
- 문학심리치료
- 김호중팬클럽
- 부부의세계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심리학실험
- 김호중칼럼
- 신경발달장애
- 독서치료
- 김호중노래
- 상담학용어
- 부부심리치료
- 시치료
- 독서심리상담
- 심리치료
- 독서상담
- 심리상담
- 독서심리치료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부모교육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김호중할무니
- 김호중아리스
- 부부의세계김희애
- 이재연교수
- 김호중
- Today
- Total
목록멜라니클라인 (2)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대상관계이론에서는 0세부터 2, 3세까지의 매우 빠른 유아기의 엄마와 아이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중심이 되고 있다. 아이는 엄마를 처음은 '좋은 가슴'과 '나쁜 가슴'으로 분리해서 인식하고 있어, 그것은 부분 대상이로 불린다. 그 후에 발달에 따라서, 아이는 모친을 '좋은 가슴과 나쁜 가슴의 통합된 것'으로서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그것은 전체 대상으로 불인다. 이 부분 대상에서 전체 대상에의 이행이 아이의 심리적 발달이며, 또 아이가 모친으로부터의 의존을 탈각하고 자립하는 과정이 되고 있다. 아이가 엄마를 부분 대상으로 인지하는 시기의 아이의 심리적 구조는 분열, 망상 위치로 불리고 있다. 또 아이가 모친을 전체 대상으로 인지하는 자기의 아이의 심리적 구조는 우울 위치로 불리고 있다. 대상관계이론적인 ..
'대상관계'라고 불리고 있지만 이 말은 '대인관계'와는 같은 말이 아니다. 대상관계이론에서의 '대상'이라는 말은 유아기에서의 대상, 즉 엄마를 가리키고 있다. 유아의 눈 앞에 있는 현실의 모친의 반응도 고려하지만, 기본적으로 중요시되는 것은 바로 유아와 엄마의 내적, 심리적 관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상'이라도 정신분석학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말한 것 처럼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는 대상 이미지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대상관계 이론으로는 그 마음속의 대상 이미지와 자아 혹은 자기의 관계를 연구해 나가는 것이 중심이 되고 있다. 현실 생활에서의 정신 질환이나 행동 이상은 이 대상 이미지의 일그러짐이나, 그것이 나빠져 있거나, 그것에의 집착의 결과로서 생긴다고 생각되고 있는 것이며, 현재의 대인관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