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심리상담
- 부부심리치료
- 심리치료
- 김호중할무니
- 부모교육
- 부부의세계
- 독서심리상담
- 김호중방송
- 시치료
- 특정학습장애
- 김호중팬클럽
- 독서심리치료
- 부부심리상담
- 김호중아리스
- 신경발달장애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상담학용어
- 이재연교수
- 김호중노래
- 독서상담
- 대상관계이론
- 독서치료
- 김호중칼럼
- 김호중
- 부부의세계김희애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심리학실험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문학심리치료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의존성향 (1)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더보기 "모든 걸 다 해주는데 왜 아이가 이러는지 모르겠어요." 운전도 '초보운전' 시절이 있습니다. 노래를 배울 때도 '첫 음'을 잘 잡아야 합니다. 이처럼 모든 것에는 초보 단계와 첫 시작 포인트가 존재합니다. 이 단계와 포인트에 아이와 어떤 관계를 맺느냐가 중요합니다. 특히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이라는 개념이 아이의 뇌에 깊게 새겨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더더욱 조심하다 보면, 아이는 의존성이 강해지기도 합니다. 의도치 않게 아이는 엄마에게 의존하면, 엄마는 속으로 내가 너무 아이에게 모든 것을 다 해주다 보니 이렇게 되었구나... 하면서 자책을 하게 됩니다. 1. 아기들은 태어나서 6개월까지는 '공생기'라고 해서 엄마와 자신을 따로 분리해서 구분하지 못합니다. 시력도 거의 ..
한국상담학신문/육아심리학
2022. 3. 15. 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