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독서상담
- 부부의세계
- 신경발달장애
- 김호중아리스
- 독서심리상담
- 부부심리치료
- 김호중칼럼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심리학실험
- 부모교육
- 독서치료
- 김호중노래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심리상담
- 특정학습장애
- 심리치료
- 상담학용어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시치료
- 김호중할무니
- 김호중팬클럽
- 이재연교수
- 부부의세계김희애
- 김호중
- 문학심리치료
- 대상관계이론
- 김호중방송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부부심리상담
- 독서심리치료
- Today
- Total
목록질적연구 (2)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우리나라 병원에는 이 시스템이 없지만, 미국 대형병원에서는 질적연구(Qualitative Inquiry)자가 1명 이상 있어야 한다는 것이 규정이 있을 정도로 질적연구는 의학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즉, 사람을 다루는 영역에는 질적연구는 꼭 필요한 것입니다. 특히 이화여대 간호학과 논문들을 보시면 질적연구의 양이 참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의학과 이렇게 관련이 있는 이유는. 1. 왜 이 대형병원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2. 왜 간호사들이 퇴원문화에 대해서 좌절하는지? 3. 왜 이 병원의 환자가 만족도가 떨어지는지? 이러한 모든 가설에 대해서 질적연구가 진행될 정도로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는 질적연구는 중요합니다. 그리고 질적연구와 달리 양적연구에는 논문의 목차가 정해져 있습니다. 양적논문목차의 기..

2019년 6월 아일랜드 트리니티 대학교 연구팀은 사회적 고독감과 감정적 고독감의 차이에 대한 논문을 사회정신과학과 정신의학역학(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에 발표를 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18세에서 70세까지 183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참가자들은 인생에서 한 번 이상의 트라우마가 될 법한 경험을 한 성인들이었습니다. 실험에 참가한 이들은 대부분이 결혼을 했거나 동거 상태에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사회적 고독감'과 '감정적 고독감'에 대해서 테스트를 하고 점수를 평가했습니다. 사회적 고독감은 사회적 대인관계에 대한 양적 평가를 했습니다. 양적 평가라는 것은 어떤 형태로든지 수량화해서 이 수량화된 자료들을 통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