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독서치료
- 신경발달장애
- 부부의세계
- 김호중팬클럽
- 심리치료
- 문학심리치료
- 심리학실험
- 김호중아리스
- 독서심리치료
- 특정학습장애
- 상담학용어
- 부모교육
- 독서상담
- 김호중노래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부부심리상담
- 심리상담
- 시치료
- 이재연교수
- 김호중방송
- 대상관계이론
- 부부심리치료
- 독서심리상담
- 김호중칼럼
- 김호중
- 김호중할무니
- 부부의세계김희애
- Today
- Total
목록상담심리학용어/이상심리학 (14)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ElzL/btqTqIexNO7/yITMMIk1OZOudaYKOYjbwK/img.png)
1. 신경발달장애입니다. 2. 조현병(정신분열증)입니다. 3. 양극성 및 관련장애입니다. 4. 우울장애입니다. 5. 불안장애입니다. 6. 강박장애 및 관련장애입니다. 7.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장애입니다. 8. 해리장애입니다. 9. 신체 증상 및 관련장애입니다. 10. 급식 및 식이장애입니다. 11.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입니다. 12. 신경인지장애입니다. 13. 성격장애입니다. 자 이것을 암기하기에 참~~ 힘이 들 것입니다. 어찌 이 13개를 암기하면 좋을까요? 우선 13에 가장 가까우면서 익숙한 숫자가 바로 12입니다. 바로 1년은 12개월이지요. 12개월로 우선 암기한 후에 마지막 13번째 성격장애(=인격장애)는 따로 암기하면 됩니다. 1월 신경발달장애 2월 조현병(정신분열증) 3월 양극성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5Bba/btqRAk6XXmL/gRXul7TxNxfC9d7vICsS9K/img.jpg)
이상심리학과 DSM-5에 있는 전체 이상심리의 종류와 정신장애의 종류는 총 13가지 입니다. 제가 공부할 때만해도 DSM-4였고, 권석만 교수님이 쓰신 이상심리학 책을 가지고 공부를 했는데 지금은 학지사 출판사든 시그마프레스 출판사든 다양한 출판사들에서 다양한 종류의 책들이 많이 나와서 참 볼만한 책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뭐든 한 권만 깊게 파면 분명히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질 것입니다. 이제는 석사와 박사 과정 제자들에게 이 목록표를 암기하지 않으면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 그만큼 이 전체 목록표는 중요합니다. 솔직히 이런 전체적 기준과 표를 암기하지 않고 누군가(내담자 및 약물치료를 하면서 상담을 받는 환자)를 심리상담한다는 것은 위험한 일이 될 것입니다. 우선 전체적인 정신장애 13개를 정리해드리겠습..
⊙이상행동 분류의 장점과 단점 이상심리학에서도 인간이 나타내는 다양한 이상행동과 심리적 장애를 분류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상행동의 분류 작업은 여러 가지 유용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장점 1977년 Goldenberg는 정신장애 분류를 통한 세 가지 유용성, 즉 효과적 의사소통, 체계적 연구, 원인의 이해증진을 지적했습니다. 1976년에는 Balshfield와 Braguns는 이상행동 분류가 정신장애 환자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기본적 틀을 제공하며 과학에 필수적인 분류의 5가지 기능을 하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1) 이상행동의 분류는 해당 분야의 연구자나 종사자들이 일관성있게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어를 제공한다. 2) 이상행동의 분류는 연구자나 임상가에게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분..
인간이 나타내는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는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개인마다 매우 독특합니다. 이상심리학은 이렇게 다양하고 독특한 이상행동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유사한 특성에 의해서 분류하는 작업에서부터 출발합니다. 분류 작업은 인간이 복잡한 현상을 좀 더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형태로 정리하는 과정입니다. 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작업은 현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분류하는 것입니다. 연구대상이 되는 특정한 현상들을 공통점이나 유사성에 근거하여 집단화하여 분류한 후, 그러한 집단적 현상의 원인이나 통제 방법을 연구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