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부부심리치료
- 김호중할무니
- 시치료
- 독서상담
- 김호중노래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부부의세계김희애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문학심리치료
- 김호중방송
- 부부의세계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대상관계이론
- 심리상담
- 김호중
- 김호중아리스
- 신경발달장애
- 독서심리치료
- 김호중팬클럽
- 부모교육
- 독서치료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심리치료
- 김호중칼럼
- 심리학실험
- 이재연교수
- 부부심리상담
- 특정학습장애
- 상담학용어
- 독서심리상담
- Today
- Total
목록애착형성 (2)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심리학에서는 애착 형성 기간을 만3세까지로 보고 있기 때문에 생후 초기 2년은 정말 중요한 시기 입니다. 이 중요한 2년을 잠깐 구분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생후 0에서 3개월까지를 애착 형성기간의 초기 단계라고 부릅니다. 이 시기에는 아기가 대인에 대한 구분 능력이 낮습니다. 엄마인지 아빠인지 할아버지인지 할머니인지 언니 오빠 누나 자체를 인지하는 것이 어렵고, 오직 자신에게 안정적인 사람인지 위험한 사람인지에 대한 반응이 존재합니다. 또한 자신에게 안정적으로 다가 오면 무조건 좋다는 반응을 보이는 시기 입니다. 이 기간을 바로 애착 형성 초기 단계라고 부릅니다.생후 3개월에서 8개월이 되면 본격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하는 시기가 됩니다. 이 시기에는 자신과 시간을 많이 보내는 사람을 기억했다가 구분하는..

이제 갓 태어난 아이의 소통 수단은 '울음' 밖에 없다는 것을 부모는 알고 있어야 합니다. 유치원, 초등학생과 그 이상의 자녀들의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언어'라는 도구를 통해 전달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엄마의 태내에(in the womb) 있었기 때문에, 언어보다도 '감각'이 소통의 가장 중요한 도구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바로 '울음'이라는 '소리'의 도구입니다. 소리를 전달해서 엄마에게 자신의 상태와 감정을 전달한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게 됩니다.엄마 뱃속에서도 탯줄이라는 연결고리를 통해, 소리와 감각이라는 개념으로 엄마와 지속적인 대화를 해온 것입니다. 그러다 엄마와의 유일한 연결고리인 탯줄을 끊어내면서 세상과 처음으로 스스로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