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가족심리학] 아무리 맑은 하늘이라도 가슴엔 비가 내리고 차디찬 겨울일 수 있습니다. 본문

한국상담학신문/가족심리학

[가족심리학] 아무리 맑은 하늘이라도 가슴엔 비가 내리고 차디찬 겨울일 수 있습니다.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2018. 5. 1. 13:31
728x90
SMALL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꽃향기 한 스푼과 맑은 공기 두 컵이면 행복을 느낄 만큼 아름다운 봄이 다가왔습니다. 빗소리도 귀를 통해 가슴까지 타고 내려갈 정도로 청각의 문이 열리고, 향기를 품은 봄바람이 사정없이 쳐서 이리저리로 흔들리는 꽃의 춤사위를 마구마구 찍어대는 시각의 문도 열립니다. 이런 봄에도 우울이 느닷없이 찾아와 한바탕 울다 갑니다. 우울 쟤는 자기 집 놔두고 맨날 마음에 들어와 짝을 찾는지 모르겠습니다. 나도 몰랐던 마음 구석구석에 사다리 하나 세워서 찾더니, 분노도 찾아내고 화도 찾아내고 스트레스도 찾아내는 걸 보면 정말 신기합니다. 마음창고를 털겠다는 욕심으로 끊임없이 찾아냅니다.   



2009년에 노스웨스턴 대학교 사회심리학과 엘리 핑켈(Eli Finkel), 에리카 슬로터(Erica Slotter) 교수와 켄터키 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나단 드월(Nathan DeWall) 교수와 매커리 대학교의 매컨 오튼(Megan Oaten) 교수는 '자기조절력 실패와 연인의 폭력행위(Self-regulatory failure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petration)'라는 제목의 논문을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에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936명의 참가자를 모아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설문조사는 자기조절력(self-regulatory)을 알아보려는 것이었습니다. 자기조절(self-regulation)은 반복된 몸의 동작을 통해서 형성된 의식적 그리고 무의식적 생각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원리를 말합니다. 자기조절력(self-regulatory)은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당장 일어나는 욕구를 조절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설문조사 결과, 자기조절력이 높은 사람은 연인에게 폭력행위가 낮고, 반대로 자기조절력이 낮은 사람은 연인에게 폭력행위가 높았습니다. 거의 9배 정도나 차이가 났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기절제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실험이기에 의미가 있습니다. 엘리 핑겔 교수팀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이어서 실험을 했습니다. 또 다른 참가자들을 모집해서 두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시간이 폭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를 했습니다. 두 그룹 모두에게 분노를 유발하는 영상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A그룹은 즉시대답(immediate response)을 하게 했고, B그룹은 10초 후에 대답(delayed response)을 하게 했습니다. 


실험 결과, 즉시 대답을 하게 한 A 그룹은 폭력적인 말을 사용한 비율이 10초 늦게 대답하게 한 B 그룹보다 두 배나 높았습니다. 46.5점과 21.4점이 나왔습니다. 화가 나고 분노가 나는 상황을 직면했을 때, 잠깐이라도 시간을 가지고 반응을 하는 것이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인 것입니다. 시각적으로 분노를 일으킬만한 사건을 목격하게 되면, 자기절제력 자체가 사라지고 늘 반복했던 본능인 공격성만 살아서 꿈틀거리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 10초라도 기간을 가지고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만 해도 공격성 본능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이 금방 올라와 본능을 누를 수 있습니다. 



아무리 맑은 하늘이라도 가슴엔 비가 내리고 차디찬 겨울일 수 있습니다. 목놓아 불러도 대답하지 않는 마음 동굴에 꽃 한 송이 심어 푸른 숲을 기대해야 합니다. 바람조차 맛있고, 햇살조차 시원하고, 그늘조차 따뜻하게 가슴 채우는 날을 맞볼 수 있도록 내 마음을 챙겨야 합니다. 



written by 이재연 교육학 박사(상담전공)
한국상담학신문 대표
행복한 심리상담연구소장(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160 1층)
(사)한국청소년지도학회 상임이사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슈 인 심리학' 칼럼니스트
전)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상담사회교육전공 교수
전) 대신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교수
저서) 심리학으로 알아보는 우리아이마음설명서(지식과 감성, 2018)
        심리학 편지(지식과 감성, 2017)
        심리학으로 알아보는 가족사용설명서(지식과 감성, 2016)
        자녀의 자아에 사랑을 더하다(지식과 감성, 2016)
        이슈 인 심리학(글로벌콘텐츠, 2015)

-한국상담학신문-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휴 및 강의문의: 010-2788-3025


LI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