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학심리치료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독서심리치료
- 독서심리상담
- 김호중칼럼
- 부부심리치료
- 김호중방송
- 독서상담
- 시치료
- 대상관계이론
- 이재연교수
- 심리치료
- 부부의세계
- 김호중아리스
- 신경발달장애
- 김호중
- 부부의세계김희애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상담학용어
- 심리학실험
- 특정학습장애
- 김호중할무니
- 부모교육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김호중팬클럽
- 독서치료
- 부부심리상담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심리상담
- 김호중노래
- Today
- Total
목록청소년심리상담 (3)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TV나 인터넷 뉴스만 보면 사건사고가 넘쳐납니다. 이런 이유로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에게는 '범죄심리학' '사회심리학'이라는 말이 익숙해질 정도입니다. 도대체 아이들을 어떻게 키워야 하는 걸까요? 이러한 질문에 짧게라도 답변을 해봅니다. 우선 저는 현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아동코칭학과 강의전담교수로 있는 이재연입니다. MBC경창철사람들, KBS2TV 아침 프로그램 부부심리분석, 속보이는 TV 인사이드 심리분석, 책으로는 '이슈 IN(인) 심리학', '심리학 이슈로 답하다'를 썼고, 국민일보 쿠키뉴스에 범죄심리학에 대한 칼럼을 200편 이상 써왔습니다. 심리학의 한 분야로 병적인 심리적 경험을 다룹니다. 심리적 현상은 원인으로서 증상으로서 그리고 관찰 가능한 징후로서 중요하며 또한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
14회에서 김희애와 함께 살던 반려자의 사별로 상실감에 술로 지내다 강원도 요양 병원장으로 가 있는 방충선(마강석 역할)과의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 나옵니다. '소유 심리와 집착에 대한 심리'를 드러내는 대화라서 분석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이 둘의 대화 먼저 보고 가겠습니다. 김희애: "왜 잘해보려는 일마다 망쳐버리는 걸까요. 내가족, 남편, 자식 전부다. 지키고 싶었던 것들마다 전부 다 놓쳤어요."방충선: "지선생한테 지킨다는 건 뭔가. 집착은 독이야. 그건 부모 자식 간의 관계에도 마찬가지고."김희애: "옆에 두겠다는 욕심은 이미 내려놨어요. 아빠랑 살겠다는 것도 이제 받아들였고요. 제가 못견디겠는건 아이가 저를 미워한다는 거예요. 그 마음만 돌릴 수 있다면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는데. 방법이 없겠죠..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입니다. 또 우울증은 생각의 나무늘보입니다. 마음이 어둡고 가슴이 답답한 상태를 우울이라고 합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생각도 나무늘보처럼 느려지면서 불필요한 생각들이 덕지덕지 붙어서 떠나지 않습니다. 이러다 보니 행동까지 말을 듣지 않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우울증과 움직이지 않으려는 행동과는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침대 위에서 오래 머문다는 이야기는 움직임이 없다는 이야기고 움직임이 적다는 것은 생각도 마음도 맑은 날이 아니라 구름 낀 흐린 날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식물은 신경세포가 없습니다. 신경세포는 움직임을 가지는 동물과 인간에게만 존재합니다. 다시 말하면, 신경세포가 존재하는 우리의 몸은 식물처럼 움직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움직여야 하는 존재입니다. 잠을 자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