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부모교육
- 부부심리치료
- 김호중할무니
- 독서심리치료
- 부부의세계
- 김호중칼럼
- 심리학실험
- 시치료
- 부부심리상담
- 문학심리치료
- 김호중노래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독서상담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김호중방송
- 김호중팬클럽
- 김호중
- 상담학용어
- 이재연교수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김호중아리스
- 특정학습장애
- 독서치료
- 심리치료
- 대상관계이론
- 부부의세계김희애
- 독서심리상담
- 신경발달장애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심리상담
Archives
- Today
- Total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프로이트와 융이 바라본 무의식의 차이점 본문
728x90
SMALL
프로이트는 자아의식이라는 것이 먼저 존재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최초에 자아의식이 있는데, 이 자인의식이 억압당하면서 생겨나는 것이 무의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살아가면서 자아의식이 생존에 위협을 당하거나 위험을 느끼면서 만들어지는 생각과 감정 혹은 욕망이 숨겨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무의식이라고 했습니다. 타인들과의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형성되는 방어의 감정 상태들과 억눌리는 욕망의 파편들이 쌓어서 형성되는 것을 무의식이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자아의식이 삶을 살아가면서 대인과 사회 공동체와 결합이 되지 않는 부정적 생각과 쓰레기 같은 욕구와 감정들이 무의식의 집을 구성한다고 보는 것이 프로이트의 무의식입니다.
융이 바라보는 무의식은 그냥 무의식의 바다가 존재한다고 봤습니다. 최초로 무의식의 바다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 무의식의 바다에서 자아의식이 움트고 싹이 트는 것으로 바라보았습니다. 이렇게 무의식에서 자라나는 자아의식이 타인과 세상을 인식하고 의식하면서 자아의식의 집이 넓어지고 단단해져간다고 보았습니다.
융이 바라본 무의식에서 생성되는 자아의식이 쪼개지고 부셔지고 억압되면서 만들어지는 것이 바로 그림자와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리고 콤플렉스와 같은 무의식 파편들이 생기는 것으로 바라봤습니다.
하지만 이런 무의식 영역을 꼼꼼하고 건강하게 분석을 해서 알아보기만 해도 비밀의 공간에서 보물 창고로 변신하게 되기도 합니다.
놓지 않으려고 꽉 쥐고 있던 무의식 영역을 손을 펴서 바라보면 신비롭고 의미가 깊은 보물들이 깔려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IST
'상담심리학용어 > 상담심리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 방어기제에 대해서(1)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0) | 2021.01.17 |
---|---|
자기애성 성격장애와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차이점 (0) | 2020.12.02 |
무의식, unconsciousness (0) | 2019.08.28 |
[상담학 용어] 게슈탈트(gestalt) (0) | 2019.08.11 |
[상담학 용어] 라포 형성(Rapport building) (0) | 2019.08.1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