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독서상담
- 김호중방송
- 독서치료
- 독서심리치료
- 독서심리상담
- 김호중팬클럽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김호중노래
- 김호중
- 이재연교수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상담학용어
- 김호중할무니
- 특정학습장애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문학심리치료
- 부부심리치료
- 시치료
- 심리학실험
- 심리치료
- 부부의세계김희애
- 부부의세계
- 심리상담
- 부모교육
- 대상관계이론
- 부부심리상담
- 김호중아리스
- 신경발달장애
- 김호중칼럼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Today
- Total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논문 작성 방법(13)] 구글로 설문지 만들기 본문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논문준비하시느라 힘드시죠? 이 시간이 삶에서 가장 힘든 시간일 수 있지만 반대로 가장 깊은 성장을 하는 시기가 될 것입니다. 힘 내시길 바랍니다.
논문 작성 방법을 티스토리에 올리는 것도 중반을 거의 다 지나가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심리학' 칼럼을 올리는 것만으로도 힘들텐데 '논문작성법'까지 올리는 게 안 힘드냐고 많이들 이야기 주셨습니다. 음... 방학이기도 하고^^ 또 주변에서 논문 때문에 너무 힘들어 하는 모습에 그냥 있을 수 없었습니다. 고려대학교대학원 응용언어학과 백석대학교 상담전공 그리고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교육학, 캐나다크리스챤대학교, 대신대학원대학교 등 박사와 석사 논문을 지도하거나 심사를 하면서 느낀 점들까지 모두 적을 수는 없지만 최대한 많은 부분을 적으려고 노력하겠습니다. 그래도 논문 작성 방법 1에서 12까지 읽고 또 읽으면서 따라 오시다 보면 분명히 논문에 대한 감이 좀 잡히시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아직도 궁금한 점이 많으실 겁니다. 계속해서 더 유용한 정보로 계속 이어나갈 테니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열심히 읽으면서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이번 '논문 작성 방법 13'에서는 양적 연구를 할 때 필요한, 질문지를 만드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논문을 처음 접해 보시는 분들은 아마 한글 프로그램이나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문조사를 만드실 계획을 세우셨을 겁니다. 그렇지만 오늘 알려드리는 방법을 사용하신다면 더 빠르고, 깔끔하게 질문지를 만드실 수 있을 겁니다.
우선 구글로 들어가서 로그인을 한 뒤, 드라이브로 이동하시거나 아래 주소를 클릭하여 이동하시면 됩니다.
https://www.google.com/intl/ko/drive/
여기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새로만들기'를 클릭하시면, 세부 메뉴가 나옵니다. 거기서 '더보기'를 누르면 '구글 설문지', '구글 드로잉', '구글 내 지도', '구글 사이트 도구'와 같은 메뉴들이 보이실 겁니다. 그 중에서 여러분은 '구글 설문지'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저는 학교폭력실태조사를 한다고 생각하고 질문지를 만들어봤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질문지를 돌릴 때 대상자들이 성실한 답변을 하지 않을 것을 대비하기 위해서, 설문지 상단에 모든 무문항이 객관적으로 만들어졌으며 통계처리 이후 모두 살제될 것을 명시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기억나시나요? 그때 설명해드린 정보들을 사용하시면 좋은 설문지를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이제 질문을 추가해보겠습니다. 위에 사진을 보시면, 질문에 대한 객관식 답을 입력할 수 있고 필수문항으로 선택할지의 여부 또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해당 문항을 필수로 정하게 되면,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했을 때 이 문항에 반드시 응답을 해야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은 응답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생각하면, 참 좋은 기능이겠죠?^^
만일 응답자에 구체적인 답변을 요구하고 싶으시다면, 객관식 질문 대신 장문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유용한 팁을 한가지 더 알려드리자면, 구글 선문지에서는 아래 사진과 같이 여러분이 작성하시는 문항 모두를 바로바로 저장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작업 중 날아갈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구글에서는 가독성을 높여주기 위해 설문지의 색상을 바꿔주는 기능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에 있는 팔레트 모양을 누르면 약 15개 정도의 색상이 뜨죠? 마지막 우측 하단의 추가 버튼을 누르시면 원하는 그림으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분홍빨강색을 선택해 봤습니다.
또 구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설문 문항을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단답형, 단락, 객관식 질문, 드롭다운, 직선 단계, 그리드, 날짜, 시간 등이 그 예시입니다. 사실, 한글이나 워드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면 위와 같은 설문 문항을 만들기가 정말 어렵고 힘듭니다. 그렇지만 제가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방법을 잘 따라오신다면 그 누구보다도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으니 찬찬히 읽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우선 주관식 문항을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구글에서 주관식 문항으로 지원하는 것으로는 다단답형과 장문형이 있습니다. 조작법은 간단합니다. 간단하게 옵션을 바꾸고 질문만 넣으면 완성이 됩니다. 장문형은 위에서 보여드렸으니 이번에는 단답형을 적용한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다음은 직선 단계입니다. 만족도나 질문에 대한 동의, 척도를 조사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설문조사지에서 많이들 보셨던, 1점에서 5점의 정도를 선택하게 하거나 전혀 아니다 ~ 매우 그렇다 사이에서 고르게 하는 경우입니다. 구글에서 지원하는 범위는 0점에서 10점 사이니까 여러분들이 원하시는 방법으로 설정하심시면 됩니다. 그리고 가장 낮은 점수와 가장 높은 점수가 무엇을 의밓미하는지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그 외의 유형은 조작법이 더 간단하니까 어떤 기능을 지원하는지 간략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체크박스: 중복응답을 허용하는 질문유형입니다.
2) 드롭다운: 객관식 질문과 같이 1개를 선택하는 문항이나, 메뉴가 나오는 것처럼 박스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질문유형입니다. 대부분은 객관식 유형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문항은 많이 이용되지는 않습니다.
3) 객관식 그리드: 행과 열을 나누어서 질문을 삽입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4) 날짜: 달력에서 날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언제 발생할 일인지를 물어볼 때 유용한 기능이겠죠?
5) 시간: 마찬가지로, 시간을 선택하거나 기입할 수 있는 문항입니다.
구글 드라이브의 수많은 설문지 제작 기능 중 마지막으로 하나를 더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바로 '문항 복사' 기능입니다. 구글에서는 아래 기능을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글 파일이나 네이버를 사용해서 설문지를 만들곤 합니다. 하지만 제가 여러 방법을 이용해본 결과 구글이 제일 간편하고 깔끔하게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여러분들도 알려드린 방법을 사용해서 질문지를 만들어보시면 좋은 경험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논문 작성 방법 13에서는 설문조사지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다음 논문 작성 방법 14에서부터는 본격적으로 논문을 어떻게 쓰는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아마 가장 궁금해 하고 기대하는 시간이 될 거라 생각이 됩니다.
written by 이재연 교육학 박사(상담사회교육전공)
한국상담학신문사 대표
행복한 심리상담연구소장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상담사회교육전공 교수
한국청소년지도학회 상임이사
전) 대신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교수
-한국상담학신문-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휴 및 강의문의: 010-2788-3025
'논문 잘 쓰는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작성 방법(15)] 요약과 서론 작성하기 (0) | 2018.02.07 |
---|---|
[논문 작성 방법(14)] 논문 작성 TIP (1) | 2018.02.06 |
[논문 작성 방법(12)] 연구의 가정 (1) | 2018.02.02 |
[논문 작성 방법(11)] 참고논문을 꼼꼼히 봐야 하는 이유 (0) | 2018.02.02 |
[논문 작성 방법(11)]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0) | 201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