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심리학 이야기] 가위눌림, 도대체 뭘까요? 본문

상담심리학용어/상담심리학용어

[심리학 이야기] 가위눌림, 도대체 뭘까요?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2019. 1. 7. 11:36
728x90
SMALL

가위눌림



가위눌림.. 도대체 뭘까요? 



가위눌림 현상을 경험한 많은 이들은 자다가 깨어나서 보니까 몸이 안 움직여서 정말 두려웠다고 이야기합니다. 또 너무 가슴이 아플 정도로 눌렸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과학으로 왜 그런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의 종류는 몇 가지일까요? 


가위눌림


수면의 종류는 두 가지입니다. 

논렘(Non-Rem) 수면과 렘(Rem) 수면이 그것입니다.



우리가 잠을 자기 시작하면, 거의 1시간 30분 간격으로 논렘 수면과 렘 수면이 번갈아 가면서 이뤄집니다. 그러면 도대체 렘(REM은) 뭘까요?



잠잘 때 '빠르게(Rapid) 눈(Eye)을 움직이는(Movement)'

상태가 REM 입니다.


각 단어들의 제일 앞 글자를 살펴볼까요? 


빠르게(Rapid)

안구(Eye)

움직이는(Movement)


자! 이 글자들만 따로 묶어 보면, REM입니다. 


 

가위눌림

잠을 잘 때, 빠르게 안구를 움직이는 상황이 바로 렘수면(REM sleep) 상태입니다. 반대로 눈알을 움직이지 않을 때를 논렘수면(Non Rem sleep) 상태입니다. 


수면 상태에서 안구을 움직이게 되면, 시신경이 놀라게 됩니다. 그리고 시신경은 뇌의 제일~ 뒤에 있는 시지각 영역에서 자극을 보내게 됩니다. 이때 갑자기 꿈을 꾸고, 잠꼬대를 하고, 심한 경우에는 몽유를 하게 되는 상태가 됩니다. 

가위눌림

렘수면일 때는 깊은 수면이 아니고 얕은 수면이기 때문에 가끔 잠에서 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아주 약한 의식이 깨어나게 되지만 몸은 아직도 잠을 자고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게 됩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척수에서 몸을 움직이도록 명령을 내리는 전각세포가 골격근으로 움직임을 전달하지 못하게 됩니다. 여기서 질문! 전각세포가 뭘까요? 



전각세포는 신경 세포입니다.

척추 안에 있는 척수에서 근육으로 '움직여라~'

명령을 리는 신경 세포입니다.


몸을 움직이는 낮 시간 때는 근육에게 명령을 내려 주는 신경 세포가 저녁이 되고 수면 상태가 되면, 이 신경 세포도 함께 잠을 자고 있어서 몸을 일으키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됩니다. 자! 여기서 질문! 가위눌림 현상 때 가슴은 왜 아플까요? 

가위눌림

'가위눌림'이라는 단어에서 '가위'라는 단어는 종이는 자르거나 뭔가 자를 때 사용하는 그 '가위(scissors)'가 아닙니다. 가위눌림에서 '가위'는 가운데(center), 중앙 뭐 그런 뜻입니다. 쉽게 말하면 '가슴 한가운데가 눌린다'라는 말을 줄여서 가위눌림이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가위눌림에서 '가위'는 '가운데'를 뜻합니다.




잠을 잘 때는 근육 자체가 움직이라고 명령을 받지 못하고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눈은 살짝 뜨고 의식이 있지만, 몸은 일으키지 못합니다. 그래서 뭔가가 내 몸을 누르는 것 같다는 착각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우리의 뇌는 합리화 해버리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정확하지는 않지만 느낌으로 뭔가가 몸 위를 누르는 어떤 것이 있다고 착각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가위눌림


가위눌림을 겪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절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안 됩니다. 또 절대로 위를 향해 누우면 안 됩니다. 피한 상태에서는 옆으로 누워야 가위눌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절대로 불규칙적인 활동을 하면 안 됩니다. 규칙적인 생활만이 가위눌림 현상을 피할 수 있습니다. 


가위눌림


가위눌림, 즉 수면 마비 증세는 평상시에 얼마나 스트레스가 많았는지를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내 몸은 그 심리적 상태를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정신적인 상태가 건강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진다면 절대로 가위눌림 현상을 겪지 않게 됩니다. 가위눌림은 절대로 기이하고 설명 불가능한 이상한 현상이 아닙니다.



written by 이재연 교육학 박사(상담전공)

한국상담학신문 대표

행복한 심리상담연구소장

(사)한국청소년지도학회 상임이사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슈 인 심리학' 칼럼니트스

전)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상담사회교육전공 교수

전) 대신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교수

저서) 심리학으로 알아보는 우리아이마음설명서(지식과 감성, 2018)

        심리학 편지(지식과 감성, 2017)

        심리학으로 알아보는 가족사용설명서(지식과 감성, 2016)

        심리학 이슈로 답하다(지식과 감성, 2016)

        자녀의 자아에 사랑을 더하다(2016)

        이슈 인 심리학(글로벌콘텐츠, 2015)


-한국상담학신문-

건강한 가족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휴 및 강의 문의: 010-2788-3025


LI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