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김호중할무니
- 김호중방송
- 독서치료
- 김호중노래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독서심리상담
- 심리치료
- 김호중팬클럽
- 문학심리치료
- 대상관계이론
- 부부심리상담
- 독서상담
- 부부의세계
- 독서심리치료
- 이재연교수
- 김호중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신경발달장애
- 김호중아리스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부모교육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부부심리치료
- 심리상담
- 시치료
- 상담학용어
- 김호중칼럼
- 특정학습장애
- 부부의세계김희애
- 심리학실험
- Today
- Total
목록전체보기 (50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2019년 듀크 대학교 병원 연구에 따르면, 아기들은 복도 쪽에 아이를 앉히는 것보다 밖이 보이는 창가쪽 즉 안쪽자리에 앉히는 것이 안전하다고 밝혔습니다. 비행기의 복도쪽 자리는 짐칸에서 가깝기 때문에 아이들이 떨어지는 물건에 크게 다치는 경우가 많고, 캐리어에 머리를 다치는 경우, 그리고 복도에서 오가는 승무원(Flight attendance, 스튜어디스, 스튜어드)이 미는 카트에 손가락이나 팔이 다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지나가는 상황에서 뜨거운 음료나 음식을 아이들 위로 엎지르는 경우도 더 많다고 밝혔습니다. 안쪽 자리보다 복도에서 더 많은 사고가 많기 때문에 더더욱 위험한 경우가 많이 일어납니다. 또한 2010년에서 2013년까지 유아의 사망이 2명이나 있었습니다. 이 아이들은 아..
명절이 되면 기분이 좋다. 달력에 빨간 색으로 된 숫자는 ‘몸이 쉴 수 있는 날’이다. 더구나 명절의 빨간 색은 주말의 빨간 색보다 훨씬 길다. 달력에 빨간 색으로 수놓은 3일 혹은 4일 연속된 명절은 일에 지친 근로자들을 들뜨게 만든다. 하지만 이런 흥분도 잠시, 심장이 빠르게 뛰는 원인은 순식간에 뒤바뀐다. ‘명절’ 뒤에 숨어 있던 좋지 않은 기억이 살아난다. 여성에겐 ‘명절음식 노예’, 남성에겐 ‘자존심 노예’. 명절 연휴도 주말과 마찬가지로 빨간 색이지만, 주말과 다르게 ‘노예생활’의 기간이 돼 버릴수 있는 것이다. 하루종일 전을 부치다 명절 끝나고 손목터널증후군에 걸려 손목에 깁스를 하는 주부들이 늘고, 남자들은 형제들과 친구들을 만나 경제적인 자존심, 지위 자존심, 자녀 자존심 싸움을 벌이다 ..
부부에게 아이가 태어나면, 즐겁고 행복하기만 할거라는 착각은 바로 현실적으로 산산히 깨져버립니다. 그 이유는 육아는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현실 육아에서 엄마와 아빠 모두에게 산후우울증이 찾아옵니다. 보통은 엄마의 산후우울증만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아빠 산후우울증도 있습니다. 요즘 '아내의 맛'이라는 프로그램에서 함소원씨 남편인 진화씨가 상담을 받으면서 남편 산후우울증이라는 이야기가 나와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는 통계가 많지 않지만 외국은 그래도 아빠 산후우울증에 대한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네바다주립대학교에서 연구한 내용에서는 육아에 대한 산후우울증에 시달리면서 외로움과 탈진 등과 같은 혼란스러운 정신적인 문제를 가진다고 했습니다.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CDC..
Schedules of reinforcement Another important component of operant conditioning is the notion of schedules of reinforcement. How often and when a behavior is reinforced can greatly affect the strength of the behavior and the rate of response. Positive and negative reinforcement can be used, and the goal is always to strenghten behavior and increase the chances of it happening again. Schedules of ..
The Unfortunate legacy of the Skinner Box In 1943, Skinner's pregnant wife asked him to build a safer baby crib for thier child. Always the inventor, Skinner created a heated crib that was enclosed with a plexiglass window and called it the Baby Tender. Skinner sent an article to Ladies' Home Journal, and they printed the story as "Baby in a Box." With the legacy of Skinner's work in operant con..
[Experiment] The Skinner Box and operant conditioning 1. To conduct the experiment, begin by placing a hungry rat inside of the box. Every time the rat presses a lever inside the box, it will receive a pellet of food. The rat will soon come to learn that by pressing the lever, it will get food (a positive condition), and thus a behavior is strengthened by positive reinforcement. 2. Next, place a..
Operant conditioning and the Skinner Box B. F. Skinner's most important work was the concept of operant conditioning. Essentially, operant conditioning is when someone learns a behavior as the result of the rewards and punishments associated with that behavior. Operant conditioning can be broken down into four types: 1. Positive Reinforment: This is when a behavior is strenghened and the probabi..
B. F. Skinner(1904-1990) It's all about the consequences Burrhus Frederic Skinner was born on March 20th, 1904, in Susquehanna, Pennsylvania. The son of a lawyer and housewife, Skinner had a warm and stabl childhood, and was left with plenty of time for creativity and invention-two traits that would serve him well throughout his career. Having graduated from Hamilton College in 1926, Skinner ori..
프로이트의 욕동과 목적과 대상이라는 개념을 정신분석에 도입했다. 초기 저술에서그는 무의식에서 새롭게 발견한 성적과 공격적 욕동을 탐색하는데 여전히 매료 되어 있었다. 결국 프로이트의 관심사는 애정과 미움의 힘을 넘어,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 주제로 옮겨갔다. 그때 프로이트는 원초아와 자아 그리고 초 자아의 구조 이론에 초점을 두었다. 그 이후 자아심리학자뿐만 아니라 즹통적 고전적인 정신분석가로 지칭되는 프로이트의 많은 추종자 또한 원초아의 내용인 애정과 미움에 대한 강조에서 구조이론 중 원초아 자아 초 자아 이런 관심의 초점을 옮겼다. 그들의 프로이트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시하지 않았고 [토템과 터부], [문명 속의 불만]과 같은 논문에 기술 된 대로 복잡한 인간관계를 추론 하고자 하는 그..
뇌의 기본 단위 뇌는 주로 신경세포가 약 1000억 개나 모인 기관이며, 이 신경 세포가 뇌의 기본 단위이다. 우리들의 몸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중에서도 신경세포는 특수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신경 세포에서는 다수의 나무 모양의 돌기나 신경 돌기라고 불리는 기 돌기가 나와 있고 때로는 1mm 정도의 길이도 된다. 신경 세포의 본체는 1000분의 수미 리미터이다. 이 축색에 절연작용을 하는 수초가 붙어 있는 유 수 신경과 떨어져 있는 무수 신경으로 분리되어 있다. 신경 세포는 정보 자극 전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원칙적으로 전기 신호로서 전달된다. 그러나 다음 신경 세포와의 사이의 시냅스라고 하는 공간이 있으므로 전기 신호로는 전달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시냅스는 신경 호르몬이 전달 물질로서 사용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