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모교육
- 부부심리상담
- 상담학용어
- 김호중방송
- 김호중아리스
- 독서상담
- 김호중할무니
- 김호중칼럼
- 심리학실험
- 대상관계이론
- 김호중
- 이재연교수
- 김호중노래
- 시치료
- 독서치료
- 부부심리치료
- 김호중팬클럽
- 심리상담
- 독서심리치료
- 심리치료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신경발달장애
- 부부의세계김희애
- 특정학습장애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문학심리치료
- 독서심리상담
- 부부의세계
- Today
- Total
목록전체보기 (50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대상관계이론에서는 0세부터 2, 3세까지의 매우 빠른 유아기의 엄마와 아이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중심이 되고 있다. 아이는 엄마를 처음은 '좋은 가슴'과 '나쁜 가슴'으로 분리해서 인식하고 있어, 그것은 부분 대상이로 불린다. 그 후에 발달에 따라서, 아이는 모친을 '좋은 가슴과 나쁜 가슴의 통합된 것'으로서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그것은 전체 대상으로 불인다. 이 부분 대상에서 전체 대상에의 이행이 아이의 심리적 발달이며, 또 아이가 모친으로부터의 의존을 탈각하고 자립하는 과정이 되고 있다. 아이가 엄마를 부분 대상으로 인지하는 시기의 아이의 심리적 구조는 분열, 망상 위치로 불리고 있다. 또 아이가 모친을 전체 대상으로 인지하는 자기의 아이의 심리적 구조는 우울 위치로 불리고 있다. 대상관계이론적인 ..
'대상관계'라고 불리고 있지만 이 말은 '대인관계'와는 같은 말이 아니다. 대상관계이론에서의 '대상'이라는 말은 유아기에서의 대상, 즉 엄마를 가리키고 있다. 유아의 눈 앞에 있는 현실의 모친의 반응도 고려하지만, 기본적으로 중요시되는 것은 바로 유아와 엄마의 내적, 심리적 관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상'이라도 정신분석학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말한 것 처럼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는 대상 이미지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대상관계 이론으로는 그 마음속의 대상 이미지와 자아 혹은 자기의 관계를 연구해 나가는 것이 중심이 되고 있다. 현실 생활에서의 정신 질환이나 행동 이상은 이 대상 이미지의 일그러짐이나, 그것이 나빠져 있거나, 그것에의 집착의 결과로서 생긴다고 생각되고 있는 것이며, 현재의 대인관계가 ..
사랑과 우정, 경쟁관계와 더불어 우리는 우리 내면에 복잡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런 관계는 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우리 자신에 대한 느낌과 우리가 다른 사람을 대하는 방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주위 사람 또한 우리 내면에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런 내적 관계와 외적 관계에 대한 탐색은 대상관계이론이라 불리는 지식 체계의 성장을 가져왔다. 발달적 측면에서 보면, 우리는 미분화상태에서 시작하며 우리 자신을 환경에서 분리할 수 없다. 우리는 우리를 돌보는 사람, 즉 부모와의 관계에서 우리가 누군인지 점차 알게 된다. 우리는 처음에 바로 우리의 생존을 위해 의존하고 있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개체로서 자신을 인식할 수 없다. 우리 존재의 단독성과 작은 상태가 두렵기 때문에 우리는 양육자에게서 사랑과 돌봄..
대상 관계이론은 영어로 object relations theory라고 합니다. 대상관계이론은 정신분석이론의 한 방법론입니다. 정신분석학을 창시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이론을 기초로 해서 멜라니 클라인과 같은 학자들이 아동이나 정신병 질환의 정신분석에 임하는 가운데 새로운 방법의 이론으로 발전하게 된 것입니다. 보통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상관계에서는 '대상'이라고 표현합니다. 즉 자신 이외의 존재와 관계성을 가지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것이 바로 대상관계이론입니다. 이 관계성을 가지는 방법에는 현실적인 외적인 방법과 개인의 마음 속에 있는 내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대상관계이론은 이렇게 두 가지의 다른 대상관계방법의 차이점을 본인이 어떻게 경험을 하고 그 경험 실제의 치료 장면을 다루게 됩니다. 지그문트..
1. 대상 2. 자기 3. 자기-대상 4. 자아 5. 분리와 개별화 6. 심리적 기제 7. 자폐증 8. 정신분열증 9. 조증 10. 경계선 성격장애 11. 자이애적 성격장애 12. 신경증적 성격과 정상 성격 13. 기법 속의 치료관계 14. 치료관계 속의 기법 15. 역전이 16. 집단과 체제와 병렬적 과정 17. 민속과 신화와 자기의 변형 18. 현실은 관계성이다 19. 대상관계이론의 발달 분리와 계별화 -자폐(0-2개월) -공생(2-6개월) -분리와 개별화(6-24개월) -대상항상성(24-36개월과 이후) 심리적 기제 -통합과 분화 -투사 -함입 -내사 -동일시 -분열 -이상화와 평가 절하 -투사적 동일시 -중간 대상의 형성 -온전한 대상관계의 발달 -동일시 기법 속의 치료관계 -역사적 배경 -기법 ..
최상의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feeling)과 정서(emotion), 그리고 그것들을 조절하는 방법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행복을 느끼든, 적응을 하든, 불행과 정서적인 혼란과 싸우든, 이 모은 것들은 주로 자신의 감정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관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무엇이 자신을 행복하거나 슬프게 만드는지 아는가? 정신의 건강과 행복은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에 크게 좌우된다. 이번 장을 읽으면 자신의 감정이 일어나는 원인이 무엇인지 더욱 자세히 알게 될 것이다. 이 문제를 좀더 잘 이해하기 위해 롤러코스터를 타려는 메리와 제인의 이야기부터 시작해보자. 높고 험난한 롤러코스터 앞에 줄을 서 있다고 상상해보라. 우리 바로 앞에 두 여성이 있다. 이미 짐작했듯이 그들은 메리와 제인이다. ..
-정서에 미치는 생각의 역할 -긍적적이고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사고의 종류 -행복을 최적화하기 위한 사고와 감정의 정확한 사용 -최적의 정서 학습을 향상시키고 방해하는 발달 요인 -기분을 변화시키고 더 잘 통제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법 7개 기본 원칙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정서적인 평안함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를 확실히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는 연습을 마쳐야 한다. 배운 내용을 생각과 행동에 적용하고, 정서적인 건강과 지속적인 행복을 위한 최적의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 학습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일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은 아예 하지 말아야 한다. 배움 없이 인생을 사는 일이 훨씬 더 어렵다. 배운 내용을 더 오래 지속해서 평화와 행복을 발견하려고 ..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은 결코 보장되지 않는다. 매우 행복해 보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거의 행복해 보이지 않는 사람도 있고, 대다수는 가끔씩만 행복해 보인다. 많은 사람들은 은연중에 인생이 기쁘고 만족스런 이유는 풍부하고 적절한 소유물과 환경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추측은 한편으로 진실일 수 있다. 소유물과 환경을 누릴 때 우리는 한동안 기분이 좋아진다. 하지만 환경이 바뀌거나 시간이 지나면 좋은 기분이 사라진다. 이런 식으로 좇는 행복은 지속적이고 내면에서 비롯되는 대신 가끔씩만 찾아오며 사건에 기반을 둔다. 우리는 행복은 상황(Thing)에서 비롯되며, 상황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화가 나고 불안해질 것이라고 믿는다. 많은 사람들은 상황을 얻고 상황을 바로잡는 데 많은 시간과 돈을 소비한다. 좋은 ..
모든 생물체는 성장을 위해 적절한 보살핌이 필요하다. 정원을 만들어놓고 물을 주지 않고 잡초도 뽑아주지 않으며 방치한다고 생각해보라. 정원은 꽃을 피우기는 커녕 얼마 안 가 황폐해질 것이다. 앞으로 설명하겠지만 우리도 마찬가지다. 불행히도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은 자신을 적절하게 보살피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우리는 자신이나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살핌에 필요한 것들을 얻지 못한 채 행복과 정서적인 평안함을 찾기 위해 무진 애를 쓴다. 평화와 행복은 많은 사람에게 상황적이고 찰나적인 것처럼 느껴진다. 복권 당첨과도 같은 이러한 감정 게임에서 승리를 유지하기는 힘들다. 우리는 인생의 부침 속에서 승리와 패배를 끊이없이 되풀이한다. 이제 여러분은 매우 많은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신이 만든 행..
Pavlov's dogs experimental progression 1. The test subjects in this conditioned response experiment are laboratory dogs. 2. First, an unconditioned stimulus must be chosen. In this experiemtn the unconditioned stimulus is food, which will evoke a natural and automatic response: salivation. For a neutral stimulus, the experiment utilizeds the sound of a metronme. 3. Observing the subjects prior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