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모교육
- 김호중할무니
- 김호중노래
- 특정학습장애
- 김호중
- 김호중칼럼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시치료
- 심리학실험
- 심리상담
- 독서심리치료
- 독서심리상담
- 심리치료
- 부부심리치료
- 독서상담
- 대상관계이론
- 문학심리치료
- 김호중아리스
- 부부의세계
- 부부의세계김희애
- 이재연교수
- 상담학용어
- 김호중팬클럽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부부심리상담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김호중방송
- 신경발달장애
- 독서치료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Today
- Total
목록전체보기 (50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Exploration of Brain Processes in Reading Studies into the human cognition of reading tend to use Experimental Cognitive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and Cognitive Neuropsychology approaches for developing further knowledge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reading of language. The experimental cognitive psychology approach designs laboratory experiments to reveal the processes which are..
발문의 유형은 3가지로 나눕니다. 1. 사고 수준 2. 사고의 폭 3. 발문의 시기와 목적 우선 사고의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면 지식을 단순히 기억, 재생함으로써 끝나는 저차적 정신 기능을 요구하는 발문과, 사고 활동을 촉구하는 즉 고차적 사고 기능을 요구하는 발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담자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또올리거나 단순한 사고를 요구하는 발문은 저차적 정신 기능을 요구하는 발문이고, 학습자들의 탐구적 사고 활동을 창조해 나가기 위한 문제 제기는 고차적 정신 기능을 요구하는 발문입니다. 사고의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발문의 유형을 구분한 연구자료 카너(Carner), 피어슨과 존슨(Pearson & Johnson)을 들 수 있습니다. 카너는 구체적 사고와 추상적 사고, 창의적 사고의 세 단계로..
한 연구에 의하면 교실 대화의 1/3은 질문으로 이루어지며, 질문의 86%는 교사들에 의해 행해집니다. 질문은 수업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많은 교육학자들은 질문의 효과와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교수 방법으로서의 발문법이 추구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사고를 촉진하는 데 있습니다. 발문을 통하여 교사는 다양한 양태, 다양한 수준의 사고를 자극하고 이끌어줍니다. 3가지의 사고 수준을 높이는 것이 발문의 핵심입니다. 1. 비판적 사고 2. 반성적 사고 3. 합리적 사고 예를 들어 '정지용의 유리창'을 수업할 때, '이 시는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슬픔을 형상화하였다.'라고 교사가 설명을 하는 것보다 다음과 같이 발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유리창의 기능이 무엇인가?' 2. '별이 물을 먹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yxLv/btrtq9vYPwS/Ft9LLXsaEPupMWOpiibIOK/img.jpg)
베르가모트가 어떻게 생겼는지 확인부터 하겠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베르가모트는 우울감에 도움이 된다. 베르가모트는 나무기 때문에 키가 크다. 거의 5미터 정도까지 자란다. 집으로 보면 거의 2층 높이까지 자란다. 향기가 엄청 세다. 특히 과일향이 많이 나고 부드럽다. 이 냄새 때문에 베르가모트는 인기가 많다. 심지어 이 베르가모트의 향기는 우울을 낮춰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베르가모트는 엄청난 치료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우울증 효과 2. 식욕조절 효과 3. 신경성 식욕부진에 효과 4. 섭식장애에 효과 5. 소화불량에 효과 6. 스트레스에 효과 7. 상처에 효과 8. 방광염에 효과 9. 비뇨기 감염 치료에 효과 이렇게 베르가모트는 엄청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아로마테라피나 향기치료에 대해 더 궁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ZlY1/btrtwqXzRyF/Eu92kBizMkgqNfackv8QG1/img.jpg)
IT는 정보를 뜻하는 information 그리고 기술을 의미하는 technology가 합쳐진 단어다. 전국에 우리나라처럼 인터넷이 잘 되어 있는 나라도 없을 것이다. 호주를 가보면, 스마트폰에서 인터넷이 거의 되지 않아서 답답해 미칠 지경이다. 이것은 국가적으로 서로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증거다. 이처럼 인터넷은 전국, 전세계 등에 대한 정보를 기술적으로 모으는 것을 가능케 하는 총칭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TuhH/btrtt4gsAOT/AW2sf4sfRSGxKIR2kz26b1/img.jpg)
라포라는 말은 '신뢰, 공감, 친근감'이라는 말이다. 두 명 사이에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형성되는 긍정적인 감정이고, 좋은 생각이며, 친근한 느낌인 것을 말한다. 라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순서를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1. 비언어적 소통(55% 태도, 눈짓, 표정, 손짓 등) 2. 목소리(38%) 3. 언어적 소통(7%) 이렇게 상대와의 라포를 형성할 때는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비언어적 소통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XYbo/btrtqCkQ1u1/LPkUoeCliWQI054KHJ0gc0/img.jpg)
결론부터 말하면, 라벤더는 우울증에 도움이 됩니다. 우선 라벤더가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보겠습니다. 위에 모습처럼 생긴 것이 바로 라벤더다. 높이는 1미터까지 자란다. 그리고 엄청 생명력이 강하다. 특히 겨울에 강추위에도 잘 견딘다. 잎이 창처럼 생겼다. 라벤더의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하라 하면, 바로 '스트레스 치료제'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라벤더 오일이 가장 중요하다. 라벤더 오일은 스트레스를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인간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에 신경이 반응을 한다. 우리 몸에 신경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1. 교감신경(짜증, 스트레스, 긴장, 흥분, 초조감, 우울감, 통증 등의 상황일 때) 2. 부교감신경(안정감, 편안함, 느긋함, 진정, 등의 상황일 때) 평상시에 스트레스가 늘어날수록 1번 교..
X세대를 정확히 규정하자면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을 말한다. 이전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라고 한다. 베이비붐 세대는 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6년부터 1964년까지 너무 많은 아기들이 태어났다. 이 세대를 베이비붐 세대라고 한다. 다시 X-세대를 보면, X라는 단어에 정체성이 있다. '아니다'라는 개념을 가진 'X'는 어떤 세대인지 명확하게 정의를 내리지 못한다고 해서 X세대라고 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yvmB8/btrsL9DdBY6/s66g7ZlwCDd72yiW0SNLKk/img.jpg)
사전적 의미로 발달은 특별히 배우지 않더라도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 속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심리 구조와 두뇌 기능이 향상되는 것입니다. 학습은 배우고 연습해서 영속적인 행동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환경과 조건 속에서 살았는데도 남들만큼 두뇌 기능이 향상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언가를 열심히 배웠는데도 그것을 할 줄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살아가기만 하면 저절로 향상되어야 할 두뇌 기능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발달장애라고 합니다. 또 아무리 배워도 할 줄 모른다면 학습장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 수단으로써의 언어 가운데 몸짓 언어와 구어 언어는 배우지 않아도 적절한 모국어 환경 속에서 살기만 하면 습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두뇌 기능 중 하나입니다. 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1nOr/btrsNxDCARr/aJalC1ZDeIDx4kbJnoT8F1/img.jpg)
독서심리치료에 대한 논문을 (사)한국청소년지도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저는 현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아동코칭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는 이재연 교수입니다. 현재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 센터장으로도 있습니다. 우선 독서심리치료는 가장 쉽게 하지만 강력한 심리치료효과를 가져다 줍니다. 청소년의 기분과 욕동(drive)을 포함하는 정신적 경험을 부수 현상(epiphenomenon), 즉 맥주 위의 거품에 지나지 않고, 실재하는 것은 물질적이고 유기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청소년이 자신의 주관적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어느 것보다 중요합니다. 1996년 Berrios는 19세기에 확립된 기술 심리병리학의 두 가지 형태를 설명했습니다. 심리학자와 뇌신경 학자는 병적인 현상과 정상 정신현상의 차이는 양적일 뿐이라고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