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학심리치료
- 김호중노래
- 신경발달장애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부부의세계김희애
- 심리학실험
- 김호중팬클럽
- 시치료
- 심리치료
- 김호중아리스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독서심리상담
- 심리상담
- 독서상담
- 독서심리치료
- 김호중칼럼
- 대상관계이론
- 부모교육
- 부부심리치료
- 독서치료
- 이재연교수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부부심리상담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특정학습장애
- 부부의세계
- 김호중방송
- 김호중
- 상담학용어
- 김호중할무니
- Today
- Total
목록전체보기 (50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Q 7세 딸을 키우는 직장 맘입니다. 혹시 아이에게 무슨 일이 생기거나 엄마가 보고 싶을 때, 스스로 연락할 수 있는 휴대폰이 필요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어린이집에서 돌아와 엄마의 퇴근을 기다리며 혼자 아이 생각에, 심심하지 않도록 스마트폰을 사주게 되었답니다. 문제는 공부나 해야 할 일도 잊은 채 빠져 있기도 하고, 심지어 식사시간에도 옆에 놓고 보면서 밥을 먹어 혼나기도 합니다. 우리 아이가 갈수록 점점 더 스마트폰에 집착하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 A 7세는 한참 발달단계에 있으므로 모든 부분이 미성숙한 상태입니다. 특히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제력과 절제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쉽게 빠져들 수 있습니다. 어린 아..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key word: R, R Studio, 데이터 분석, 실전 데이터 분석 여러분은 저번 시간, 성별에 따른 월급 데이터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아직 이유는 잘 모르지만 남성의 월급이 여성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성별에 따른 월급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설에 한층 힘이 실렸습니다. 이번에는 '나이와 월급의 관계'에 대해 한 문단을 쓰려고 합니다. 이에 여러분은 '몇 살 때 월급이 가장 많을 것인가를 생각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하고자 합니다.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변수 검토 및 전처리 나이와 월급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나이 변수와 월급 변수가 필요하겠죠. 그렇다면..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key word: R, R Studio, 데이터 분석, 실전 데이터 분석 여러분은 이제 논문을 위한 데이터 분석 준비가 모두 끝났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들고, 데이터도 준비를 끝냈습니다. 이제 '한국인의 삶, 월급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에서 여러분이 세운 첫번째 가설을 검증할 것입니다. 그 가설은 '성별에 따라 월급이 다를 것이다.'라는 가설입니다. 여러분은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세웠습니다. 1. 변수검토 및 전처리 -성별 변수 검토 및 전처리먼저 성별 변수에 대해 변수를 검토하고 전처리를 해봅시다. 'class()'로 'sex(성별) 변수'의 타입을 파악하고, 'table()'로 각 범주에 몇 명이 있는지 ..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key word: R, R Studio, 데이터 불러오기, 데이터 검토하기, 변수명 변경, 데이터 분석 절차 여러분은 '한국인의 삶, 월급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R 프로젝트를 말들어 패키지 설치/로드를 완료했습니다. 이제 데이터를 실제로 불러와서 어떤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해 보는 일을 할 것입니다. 01. 데이터 불러오기다운 받은 파일을 프로젝트 파일이 있는 폴더에 넣어주세요. 그 후 R Studio를 실행시키면 파일 창에 데이터 파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데이터 파일을 불러오는 작업을 할 것입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작성하고 시행해 주세요. 이 때, 만약 R Studio를 종료하고..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key word: R. R Studio, 프로젝트 만들기, 패키지 설치, 패키지 로드 "설치만 끝내고 어떤 기능이 있는지 잠깐 밖에 살펴보지 못했는데 벌써 데이터를 분석해?" 위처럼 생각하시는 분이 있을 수도 있겠죠. 하지만 R은 복잡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저는 실제로 데이터를 다뤄보면서 익혀나가는 것이 더 빠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여러분은 지금부터 논문을 쓸 것입니다. 여러분의 수준에는 '이런 걸로 논문을 써?'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실습을 위한 가상의 주제임을 알아주세요. 또한 "04. 데이터 분석 시작!"에서는 아주 간단한 가설만으로 데이터 분석에 익숙해질 것입니다. 이어지는 05, 06..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인지 부조화 살아가면서 우리는 많은 선택을 내리게 됩니다. 선택을 내리면서 우리는 많은 판단과 생각을 하며, 자신이 생각하기에 가장 합리적으로 보이는 방향을 정하려 합니다. 그렇지만 인생이 늘 생각대로 흘러가는 것만은 아니어서, 잘못된 선택을 내리기도 합니다. 문제는 잘못된 선택을 내린 이후입니다. 어떻게 잘못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이솝 우화에 나오는 신 포도와 여우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여우는 자시이 따먹으려던 포도에 손이 닿지 않자, 저 포도는 보나 마나 신 포도일 거라며 돌아섭니다. 우리는 종종 이솝 우화의 여우같은 사람들을 보게 됩니다. 거짓말을 해두고 그것이 진실이라고 믿어버리거나, 자신이 잘못된..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Key word: R. R Studio, R Studio 구조, 콘솔(Console)창, 소스(Source)창, 환경(Environment)창, 파일(File)창 오늘은 R Studio가 어떻게 생겼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등을 익히며 R Studio에 익숙해져 볼까요? 1. R Studio 구성 R Studio를 설치하셨다면, 다음과 같은 아이콘을 통해 R Studio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다음 아이콘을 더블클릭해 R Studio를 실행해주세요. R Studio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 화면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하나씩 알아가 봅시다. 우선 외쪽에 있는 창은 콘솔(Console) 창. 오른쪽 상단에 창은 환..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경계선 인격 장애(Boderline Personality Disord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이런 용어가 몇 백년 된 것 같지만, 사실은 100년이 안 된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1953년도에 정신분석가였던 로버트 나이트(Robert Knight)가 '경계선 상태(Boderline States)'라는 글을 쓰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사실 1940년대부터 이미 로버트 나이트는 '경계선 장애'에 관한 개념을 소개했었습니다. 하지만 뭔가.. 논문이나 책이나 학회지에 떡~하니 제목으로 발표를 하지 않으면 인정을 잘 하지 않기에 그 전에 아무리 여러 방식으로 소개를 많이 했어도, 1953년을 '경계선 인격 장애'라는 용어의 시작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입..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2-21-0064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초두효과 첫인상을 결정하는 말 한마디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그들과 관계를 유지하게 됩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는 다른 사람을 만나는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 면대면으로 만나기도 하고,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가상으로 만나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환영받고 친근해지고 싶은 마음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중에는 유독 쉽게 빨리 친해지는 사람이 있고, 아무리 다가가려고 해도 쉽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자세히 생각해보면 첫인상이 그리 좋지 않았던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처럼 첫인상은 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일관성(consistency)을 유..
이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2-21-0064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여러분의 클릭 한 번이 한국상담학신문사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 더 건강하고 깊이 있는 글을 쓰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행복 심리학 실험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이런저런 다짐을 하곤 합니다. 올해는 꼭 금연에 성공하겠다거나, 다이어트에 성공해 예쁜 새 옷을 입는다거나, 열심히 공부해서 시험에 합격하겠다는 것 같은 다짐입니다. 그런데 사실 달력의 숫자 하나가 바뀌었다고 사는 게 손바닥 뒤집듯 바뀌지는 않습니다. 평소처럼 바쁜 일상에 치이다 보면 어느새 그런 목표들은 흐지부지 무너지게 되고, 지나간 시간을 되돌아보며 내 일상은 너무 평범하다고 한탄을 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과 나 자신을 점점 비교하게 됩니다. 일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