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김호중노래
- 독서치료
- 부부심리상담
- 특정학습장애
- 독서상담
- 상담학용어
- 대상관계이론
- 심리학실험
- 부모교육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김호중
- 시치료
- 이재연교수
- 문학심리치료
- 김호중아리스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김호중할무니
- 독서심리상담
- 부부심리치료
- 부부의세계
- 심리상담
- 김호중팬클럽
- 김호중방송
- 부부의세계김희애
- 신경발달장애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심리치료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독서심리치료
- 김호중칼럼
- Today
- Total
목록전체보기 (50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여러분의 클릭 한 번이 한국상담학신문사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 더 건강하고 깊이 있는 글 쓰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개념적 장벽(conceptual block) 개념적 장벽(conceptual block)이라는 용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간단하게 뜻을 말하자면, 문제를 푸는 사람이 그 문제를 정확하게 지각하지 못하고 해결 방법을 생각하지 못하게 되는 정신적인 장벽을 말합니다. 즉, 문제를 푸는 사람이 문제에 대한 개념을 너무 많이 떠올리게 되는 것입니다. 유독 수학이나 사회과목과 같이 한 과목에만 약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다른 과목에서는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반면 꼭 특정 과목에서는 학습 시간과 노력 여부와 별개로 ..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1. 가족회복프로젝트 행복한 가족을 찾아가는 여행은 난관의 연속입니다. 봄보다 겨울이 더 길고, 따뜻한 이불보다 차가운 칼날 같은 삶의 겨울이 시간이 지날수록 본색을 드러냅니다. 황홀할 정도로 아름다울 거라 생각했던 시간과 공간은 어느새 불빛이 줄어들면서 외줄타기를 시작합니다. 행복한 기억은 아련해지고, 살아가는 희망을 견인하던 별도 하나둘씩 언젠가부터 마음하늘에 나타나지 않기 시작합니다. 너무 오래 잊고 살아가는 가족의 별을 찾고 헤아리기 위해 사랑빛이 별에 가닿기를 바랍니다. 2. 가족회복프로젝트 2003년도에 뉴욕주립대학교 심리학과 지나 벨라비아(Gina Bellavia)와 산드라 머레이(Sandra Murray) 교수는 자존감..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1. 교육심리학 학습의 조건 수업이론 그리고 교육의 철학 우리가 수업이 따분하고 지루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수업이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만 가질 때입니다. 선생님 또는 교수님이 낮고 침착한 목소리로 마치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주듯이 수업을 하면 '내가 왜 이 수업을 듣고 있어야 하지?'라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사실 수업이라는 것은 단순히 정보를 주고받는 시간과 장소만은 아닙니다. 2. 교육심리학 학습의 조건 수업이론 그리고 교육의 철학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로버트 밀스 가네(Robert Mills Gagne)는 학습의 조건을 들며 학습에도 여러 가지 요인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1962년부터 '학습의 조건(Conditi..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1. 교육심리학 전조작기 어렸을 때 놀이터에서 모래로 소꿉놀이를 해본 적 있으신가요? 아니면 마법을 상상하며 주문을 외우거나 문방구에서 파는 마법 목걸이나 마법 반지를 들고 다니던 때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교육심리학에서 '가상 놀이(pretend play)'라고 부르는 놀이입니다. 유아는 자신의 물리적인 환경을 실제인 그대로 인지하지 않고 상징화하여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냅니다. 소꿉놀이가 시작되면 아이들은 금세 엄마와 아빠, 아들과 딸의 역할에 이입해서 모래로 밥을 만들어 나눠먹기도 하고, 풀이나 나무 열매로 반찬이나 새로운 장난감들을 만들어내곤 합니다. 즉, 모래와 풀로 장난을 친다는 것보단 상상 속에 있는 표상을 모래와 풀..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1. 눈치보는 아이 엄마: 2살 터울의 남남 아이를 키우는 엄마입니다. 아이는 문제가 없는데 제 성격이 급하고 욱하다 보니 제 성격 때문에 아이를 나무라고 야단치고 하는 것 같아요. 아이가 너무 눈치 보고 있고, 아이라면 고집도 부리고 떼도 쓰고 하는 게 일반적인 거 아닌가요? 그런데 이 아이는 그렇지 않네요. 평소엔 착하고 말 잘 듣는 아이라 기특하길 하지만 한편으로는 답답하고 애늙은이 아이 같아서 속상한 마음이 듭니다. 2. 눈치보는 아이 상담사: 아이가 어릴 땐 부모를 더 생각해 주는 것 같아서 기특하고 고마운 마음이 들었었는데 너무 자기 생각이나 감정을 얘기하지 않는 것 같아서 속상하신 것 같아요. 아이는 착한 아이로 부모님..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1. 친구와 싸운 뒤 말을 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어머니: 유치원에서 전화가 왔는데, 우리 아이가 친구랑 싸웠는데 친구를 좀 세게 물었다고 하네요. 선생님께서 아이에게 이유를 물어봤지만 아이는 말을 하지 않았고, 생대 아이의 이야기만 들을 수밖에 없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물어보시네요. 아이는 제게도 친구와 싸운 이야기는 일절 안 해서 저는 잘 지내는 것으로만 생각했어요.2. 친구와 싸운 뒤 말을 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상담사: 유치원 선생님의 전화를 받고 내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지 않아서 답답하고 속상하실 것 같아요. 그리고 선생님께서 상대 아이는 이야기를 해서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그 아이의 입장은..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1. 논문 목차 작성법요즘 논문에 대한 도움을 요청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논문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중간에 막히셨더라도 뛰어넘을 수 있는 벽이고 그러한 경험이 이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조금만 더 힘을 내서 달려나가시길 바랍니다. 논문 목차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도 조금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사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논문 목차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대충 작업하고 있습니다. 논문 형식 중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가 바로 논문 목차라고 할 정도로 그 중요성은 빠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논문 목차는 자신이 쓰고자 하는 연구 결과물 전체의 모습을 한 번에 보여주는 미니어처와 같은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설문지 질문의 종류논문 자료를 조사하는 방법 중 설문지 질문의 종류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얻기 위해서 설문지 질문 작성 시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지난번에 구글 설문 조사지를 만드는 법 기억하시나요? 이번 논문 작성 방법 17은 그 연장선으로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설문지 질문의 종류와 질문지 구성 시 꼭 체크해야 하는 주의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2. 설문지의 필요성우선 연구를 할 때, 왜 설문조사를 하는지부터 생각해 보겠습니다. 논문을 작성하는 분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자료를 얻지만..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안녕하세요. 논문 작성 방법 15에서는 '요약' 부분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서론' 부분의 작은은 어떠한 방향으로 하는 거이 좋은지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본론 작업을 하는데 꼭 필요한 각주, 미주 다는 법과 또 그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각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 '각주'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정의가 뜹니다. 논문 따위의 글을 쓸 때, 본문의 어떤 부분의 뜻을 보충하거나 풀이한 글을 본문의 아래쪽에 따로 단 것.[비슷한 말] 아랫주, 주각4 즉, 논문 속의 각주는 페이지의 맨 아래에 배치된 설명으로 위의 텍스트..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논문 작성 특강도 끝을 향해 달리고 있습니다. 지난번에는 논문 집필 과정을 자세히 설명 드리기에 앞서 몇 가지 TIP을 알려드렸습니다. 그 내을 보고 오신 거죠? 이번에는 논문 작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상세히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논문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꼭 들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지금까지 이야기드린 정보들은 지도 교수님의 교육 아래에서도 충분히 습득 가능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논문을 본격적으로 '쓰는' 단계에서는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부터가 막막하기 마렵입니다. 이러한 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계신다면 이제 집중해서 읽어주셔야 할 것입니다. 우선 선행연구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