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독서상담
- 문학심리치료
- 부모교육
- 부부의세계김희애
- 독서심리상담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김호중칼럼
- 심리치료
- 상담학용어
- 심리상담
- 심리학실험
- 김호중아리스
- 김호중팬클럽
- 독서치료
- 부부심리상담
- 신경발달장애
- 대상관계이론
- 김호중할무니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특정학습장애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이재연교수
- 부부의세계
- 독서심리치료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김호중
- 김호중노래
- 시치료
- 부부심리치료
- 김호중방송
- Today
- Total
목록전체보기 (50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드디어 어제 김호중 공식 팬클럽에 가입을 하고 아리스가 되었습니다. 사실, 미스터트롯에 첫 곡을 부르는 장면에서 마음을 빼앗긴 것을 고백합니다. 하지만 그 마음을 강하게 밖으로 꺼낸 시점은 아마도 '천상재회'를 불렀을 때입니다. 집에서 TV를 지켜보는 나는 어떤 노래보다 김호중의 노래에 감동을 받았고, 더군다나 어떤 출연진들보다 감수성이 넘치고 마음 안쪽까지 김호중의 목소리가 위로의 손으로 토닥여주는 것을 느꼈습니다. 하지만 노래를 부르는 중간중간 마스터들의 '떤다', '긴장한다'는 평가에 '왜?', '나는 그렇게 느끼지 않았는데?'라며 반감이 생겼습니다. 솔직히 그때부터 부당하게 순위에 밀리거나 가수로서 제대로 된 자신의 실력을 인정받지 못한다면, 너무... 참지 못할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티스토리와..

인간은 언어를 통해 소통을 합니다. 하지만 음악으로도 소통을 합니다. 심지어 언어로 나타내지 못하는 감정이나 느낌은 오히려 음악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언어는 각 나라가 다르게 사용되는 각자의 언어를 가지고 있지만, 음악은 오히려 공통적인 부분이 더 많습니다. 즉 언어가 아니라 음악과 같은 비언어가 더 사람과 사람의 소통에 있어서 뛰어납니다. 더군다나 요즘처럼 영어를 많이 배우는 시대에 일반적인 영어교육은 지루합니다. 뭔가를 배우는데 지루하지 않게 배워야 능률도 오르고 오랫동안 배울 수도 있습니다. 음악 즉 팝송 같은 외국곡을 통해서 영어학습을 하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사실 영어학과 언어학에서는 1978년에 Lozanov에 의해 바로크 음악을 통해서 언어 교수법이 이뤄졌기도 했습니..

아기들은 엄마와 아빠의 손길을 통해 행복을 채웁니다. 미국 오하이오 소아과 병원 연구팀은 아기들에게 엄마 아빠의 사랑의 손길로 닿는 느낌 그리고 그런 신체적인 교감에 대해서 어떤 피드백을 하는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실험에 참가한 아기들은 신생아 125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엄마와 아빠의 손과 뺨 그리고 가슴과 같은 피부가 접촉되는 상황에 신생아들의 뇌에서 어떤 영역이 활성화가 되는지 관찰을 했습니다. 실험에 참가한 125명의 아기들 중에는 조산아와 일반 신생아로 나눠졌습니다. 원래 10달을 다 채워야 정상인데 10달이 아니라 보통 임신 29주에서 38주 사이에 태어난 아기들을 조산아라고 합니다. 날짜로 보면 203일에서 266일 사이입니다. 달로 따져보면, 7개월에서 9개월 사이에 태어난 아기..

부부의 세계에서 김희애와 박해준 부부관계뿐만 아니라 박선영과 김영민 부부관계에 대한 장면들이 많이 나옵니다. 김영민이 연기하는 손제혁이라는 인물은 이태오와 중고등학교 동창 사이이고 회계사가 되어서 고향에 돌아온 인물입니다. 드라마 중반까지 김영민은 업무 특성상 귀가가 늦는 걸 핑계로 수시로 외도를 즐기는 인물로 나옵니다. 고요하고 조신한 아내를 사랑하지만 짜릿하고 새로운 자극을 찾아다니면서 외도를 즐기는 인물로 그려집니다. 그러다 14회에서는 김영민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박선영에게 끊임없이 용서를 구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박선영의 마음이 드디어 열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관계회복이 현실에서는 진짜로 잘 일어날 수 있는 일일까요? 그렇지 않다면, 왜 외도를 하는 사람들은 반복해서 거짓말을 해가면서 ..

2017년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학교의 연구팀이 '학대받은 경험의 아이들은 일반 아이들에 비해 '자발적 거짓기억'을 쉽게 만드는 경향'에 대해서 영국발달심리학회지에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아이들은 총 127명이었습니다. 나이는 4세에서 12세로 형성했습니다. 실험 참여 아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아동학대와 연관된 기관에서 모집된 학대 경험이 있는 아이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그룹이 실험군이었습니다. 반대로 두 번째 그룹은 학대 경험이 없는 아이들로 대조군이었습니다. 두 그룹에게 동일한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처음에는 특정 주제와 관련된 단어들 목록을 나눠준 후, 목록에 있는 단어들을 암기하라고 했습니다. 두 번째는 완전히 다른 단어 목록을 주었습니다. 하..
14회에서 김희애와 함께 살던 반려자의 사별로 상실감에 술로 지내다 강원도 요양 병원장으로 가 있는 방충선(마강석 역할)과의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 나옵니다. '소유 심리와 집착에 대한 심리'를 드러내는 대화라서 분석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이 둘의 대화 먼저 보고 가겠습니다. 김희애: "왜 잘해보려는 일마다 망쳐버리는 걸까요. 내가족, 남편, 자식 전부다. 지키고 싶었던 것들마다 전부 다 놓쳤어요."방충선: "지선생한테 지킨다는 건 뭔가. 집착은 독이야. 그건 부모 자식 간의 관계에도 마찬가지고."김희애: "옆에 두겠다는 욕심은 이미 내려놨어요. 아빠랑 살겠다는 것도 이제 받아들였고요. 제가 못견디겠는건 아이가 저를 미워한다는 거예요. 그 마음만 돌릴 수 있다면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는데. 방법이 없겠죠..
인지적인 청취과정을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겠지만 전체적(global) 청취와 지엽적(local) 청취로 구분을 하는 것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지엽적 청취란 특정 정보에 초점을 맞춘 청취활동이며 전체의 흐름이나 중심주제보다는 특정 부분 즉,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알아내는 청취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공항에서 계속되는 안내방송을 들으면서 청자의 가장 큰 청취목적인 자신이 기다리는 비행기의 도착이나 지연 상황을 알아내는 청취과정입니다. 청자가 단순히 듣는(listening to) 것보다는 들어야 할 내용, 혹은 다음에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을 찾으며 듣는(listening for) 것입니다. 이러한 청취형태는 상향식 이해 과정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잇습니다. 전체적 청취에서는 전달된 정보의 배경,..
청취과정을 기능별로 분류하면, 청취 교수 및 학습에 있어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상호작용적(interactioanl) 기능과, 새로운 정보의 흡수나 새로운 개념의 형성이나 기술의 획득을 위해서 이루어지는 교류적(transactional) 기능으로 나눌 수 있스빈다. Rischards는 1990년 이러한 두 가지의 언어기능과 위에서 언급한 상향식, 하향식 언어처리 과정과 연계하여 하나의 교재 설계의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어느 하나의 과정이 다른 것보다 우세한 정도는 3가지입니다. (1) 청취의 목적(교류적 또는 상호 작용적) (2)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배경지식의 종류 (3) 청취자의 담화 주제에 대한 친근함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며, 청취 활동은 청취 기능과 처리방법에 분류 A-농담듣기 B-..
청취의 종류는 우선 청취환경에 따라 나뉠 수 있습니다. 마주보면서, 혹은 TV나 컴퓨터와 같은 매체를 통해서 들을 때, 혼자 들을 때와 함께 들을 때 등, 듣기만 하는 환경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듣는 환경일 때, 각각의 청취환경을 이루고 있는 요인들은 다릅니다. 또한 청취목적에 따라 (예를 들면 정보수집 또는 즐거움을 찾기 위해), 청취의 내용, 길이, 속도에 따라 청취의 종류를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상향식 청취와 하향식 청취 많은 학자들이 청취과정을 상보적인 두 가지 과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모국어 사용자와 고급 단계의 언어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하향식 청취과정입니다. Richards, Gordon 그리고 Harperrk 1987년에 하향식 과정을 담화가 일어나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