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재연교수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김호중칼럼
- 부부의세계
- 김호중할무니
- 김호중아리스
- 심리치료
- 김호중팬클럽
- 문학심리치료
- 시치료
- 부부의세계김희애
- 부모교육
- 독서심리상담
- 심리상담
- 김호중
- 독서심리치료
- 독서상담
- 심리학실험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김호중노래
- 대상관계이론
- 신경발달장애
- 상담학용어
- 부부심리상담
- 김호중방송
- 독서치료
- 부부심리치료
- 특정학습장애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Today
- Total
목록상담심리학용어 (15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2019년 듀크 대학교 병원 연구에 따르면, 아기들은 복도 쪽에 아이를 앉히는 것보다 밖이 보이는 창가쪽 즉 안쪽자리에 앉히는 것이 안전하다고 밝혔습니다. 비행기의 복도쪽 자리는 짐칸에서 가깝기 때문에 아이들이 떨어지는 물건에 크게 다치는 경우가 많고, 캐리어에 머리를 다치는 경우, 그리고 복도에서 오가는 승무원(Flight attendance, 스튜어디스, 스튜어드)이 미는 카트에 손가락이나 팔이 다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지나가는 상황에서 뜨거운 음료나 음식을 아이들 위로 엎지르는 경우도 더 많다고 밝혔습니다. 안쪽 자리보다 복도에서 더 많은 사고가 많기 때문에 더더욱 위험한 경우가 많이 일어납니다. 또한 2010년에서 2013년까지 유아의 사망이 2명이나 있었습니다. 이 아이들은 아..
프로이트의 욕동과 목적과 대상이라는 개념을 정신분석에 도입했다. 초기 저술에서그는 무의식에서 새롭게 발견한 성적과 공격적 욕동을 탐색하는데 여전히 매료 되어 있었다. 결국 프로이트의 관심사는 애정과 미움의 힘을 넘어,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이 주제로 옮겨갔다. 그때 프로이트는 원초아와 자아 그리고 초 자아의 구조 이론에 초점을 두었다. 그 이후 자아심리학자뿐만 아니라 즹통적 고전적인 정신분석가로 지칭되는 프로이트의 많은 추종자 또한 원초아의 내용인 애정과 미움에 대한 강조에서 구조이론 중 원초아 자아 초 자아 이런 관심의 초점을 옮겼다. 그들의 프로이트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시하지 않았고 [토템과 터부], [문명 속의 불만]과 같은 논문에 기술 된 대로 복잡한 인간관계를 추론 하고자 하는 그..
뇌의 기본 단위 뇌는 주로 신경세포가 약 1000억 개나 모인 기관이며, 이 신경 세포가 뇌의 기본 단위이다. 우리들의 몸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중에서도 신경세포는 특수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신경 세포에서는 다수의 나무 모양의 돌기나 신경 돌기라고 불리는 기 돌기가 나와 있고 때로는 1mm 정도의 길이도 된다. 신경 세포의 본체는 1000분의 수미 리미터이다. 이 축색에 절연작용을 하는 수초가 붙어 있는 유 수 신경과 떨어져 있는 무수 신경으로 분리되어 있다. 신경 세포는 정보 자극 전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원칙적으로 전기 신호로서 전달된다. 그러나 다음 신경 세포와의 사이의 시냅스라고 하는 공간이 있으므로 전기 신호로는 전달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시냅스는 신경 호르몬이 전달 물질로서 사용되고..
심리학에는 크게 두 가지 한계가 있다. 하나는 현재 심리학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통계적 분석 방법에서 생기는 한계이다. 심리학에서는 물리학 등의 세계와 달리 어떤 자격이나 조건에 대해서 동일한 결과나 반응을 기대할 수 없다 무게 1kg의 물체가 시속 150킬로미터의 속도로 충돌 시 그 에너지 량은 간단히 계산할 수 있지만 사람은 시속 몇 킬로미터의 충돌로 통증을 느끼는지 간단하게 밝혀 낼 수 없다. 사람에 따라서 단지 옆을 스치는 듯한 속도에서도 고통을 느끼거나 또는 상당한 속도에서도 고통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있다. 반응의 방식은 이처럼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이때 심리학에서는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결론을 내리고 있다. 예를 들어, 색깔을 결정할 때 100명 중 95명의 사람이 백색이라고 ..
사람의 마음은 직접 볼 수 없지만 눈에 띄는 외형의 행동이나 반응으로 알 수가 있다. 단 같은 인간의 행동에도 100m 달리기나 혈압 같은 것은 물리적으로 재는 잣대가 개발되어 있지만, 인간 심리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차트에는 여러 모양으로 다르다. 학습효과에 측정을 예로 들면 학습 효과가 어느 정도 빨라졌는가 하는 반응 시간이나 학습효과의 올바른 반응이 일어났는가 하는 것처럼 반응의 빈도 등을 측정하는 일이 많고 지능이나 성격은 지능 지수처럼 테스트 기준이나 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활용하는 심리적 과정에 따라 독특한 척도를 사용하기 마련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척도의 대상이 되는 심적 과정이 다르게 책정되고 있는가 하는 타당성과 똑같은 척도라면 누구나 언제든지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는..
자기 마음과 타인의 마음을 알 수 있는가? 심리학은 독심술인가 하는 의문에 대답은 그렇다 이기도 하고 아니다이기도 하다. 보통 우리는 심리학자가 '나는 심리학 전문가다'라고 말하면 '그러면 내가 어떤 기분인지 알고 있느냐?'라고 엉뚱한 질문을 하거나 '심리학 분야는 무섭다. 상대 심리학자는 나의 생각을 알고 있다.'라고 생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심리학을 아는 사람은 상대방의 생각이 나 기분을 알게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심리학을 전공했다고 해서 상대의 마음을 전부 알게 되는 것은 아니다. 심리학에서는 어떻게 해서 사람의 심리, 즉 마음을 이해하고 어느 정도까지 심리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를 과학이라고 말한다. 과학이기 위해서는 누구나 그것에서 얻어진 결과를 경험 혹은 지연할 수 ..
프로이트가 바라본 무의식 프로이트는 자아의식이라는 것이 먼저 존재한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최초에 자아의식이 있는데, 이 자인의식이 억압당하면서 생겨나는 것이 무의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살아가면서 자아의식이 생존에 위협을 당하거나 위험을 느끼면서 만들어지는 생각과 감정 혹은 욕망이 숨겨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무의식이라고 했습니다. 타인들과의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형성되는 방어의 감정 상태들과 억눌리는 욕망의 파편들이 쌓어서 형성되는 것을 무의식이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자아의식이 삶을 살아가면서 대인과 사회 공동체와 결합이 되지 않는 부정적 생각과 쓰레기 같은 욕구와 감정들이 무의식의 집을 구성한다고 보는 것이 프로이트의 무의식입니다. 융이 바라본 무의식 융이 바라보는 무의식은 그냥 무의식의 바다가 존재한..
비밀 일기장, 비밀 창고, 비밀 다락방 무의식을 무엇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을까? 무의식을 무엇이라고 하면 이해가 쉬울까? 인간이 스스로를 알지 못하는 시간이 있을까? 존재한다. 바로 태어나서 3년 정도의 시간은 아무 되돌아보고 또 봐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 분명히 내 몸을 가지고 살아간 시간인데 그 시간은 기억에 없다. 나는 내 시간을 모르지만 나를 길러주신 부모님과 가족만이 안다. 엄밀히 말하면 타인은 나를 알지만 나는 나를 모르는 시간이다. 이 글을 쓰는 나도 딸이 둘인데, 어렸을 때 동영상이나 사진을 보여주면 신기해하고 자신이 어떠 했는지 어떤 일이 있었는지 자꾸 이야기해달라고 한다. 아무래도 자신의 어렸을 때 모습이 지금의 자신과 일치가 안되어서 그럴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우리의 삶에서 초기에 ..
창세기로 돌아가서, 그것은 '형체가 없고 비어 있는' 땅에서 시작한다.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어둠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신은 수면에 운행하시니라." 하나님은 형체가 없고, 어둡고 수분으로 된 이런 덩어리에 만족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그는 하나를 다른 것과 나누고, 전체에서 각각에 어떤 공간을 부여하는 과정을 시작했다. 그리고 하나님이 가라사대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고 그리고 그 빛이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더라 그리고 하나님이 빛과 어두움을 나누사 -창세기 1장 3절 - 4절 하나님은 또한 심연의 물에서 창공의 물을 분리시키고, 바다에서 육지를, 밤에서 낮을 분리시켰다. 각각은 거대한 빛을 동반했다. 그는 창조물들을 만들었는데, 이들이 각자의 종을 번식시켰다. 우리의 태..
정신분석에서는 민속과 신화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다. Freud와 더 이전에 Freud와 Oppenheim, Jung 그리고 Rank는 개인의 환상을 신화와 민속 주제와 비교하고 그들의 의미를 밝히려 한 초기 분석가 가운데 몇 사람이다. Freud는 꿈의 주제를 그리스 신화와 비교함으로써 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붙인 이름을 가져왔다. 좀 더 최근에 Bettelheim은 마법의 사용(The Uses of Enchantment)에서 아이들에게 동화를 읽어 주는 것의 중요성과 의미를 기술했다. 이 아동분석가는 실존주의자 사상에 영향을 받아서 모든 동화는 어떤 발달상의 문제에서 비롯되고, 이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한다고 시사했다. 이야기 속의 남자 주인공이나 여자 주인공은 좀 더 통합된 자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