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상담학용어
- 심리학실험
- 부모교육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문학심리치료
- 부부심리치료
- 부부의세계
- 특정학습장애
- 시치료
- 독서치료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김호중팬클럽
- 독서심리치료
- 김호중
- 김호중노래
- 김호중아리스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심리치료
- 심리상담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이재연교수
- 독서심리상담
- 신경발달장애
- 대상관계이론
- 부부심리상담
- 김호중칼럼
- 김호중할무니
- 부부의세계김희애
- 독서상담
- 김호중방송
- Today
- Total
목록한국상담학신문 (254)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부모의 머릿속에는 이미 너무 많은 고정관념이 존재합니다. 부모가 가지는 고정관념이 자녀의 삶을 망칠 수도 있습니다. 2006년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교의 연구팀이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를 했습니다. 이 연구는 3년간 진행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여성이 남성보다 수학을 못한다.'라는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였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남성과 여성의 수학 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전혀 없었습니다. 이 연구의 핵심 결과는 '고정관념'이 아무런 차이가 없는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차별성 그 자체를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참가자 여성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의 여성들에게 '여성이 타고나기를 수학 능력이 남성..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낡아버린 기억들이 겨울을 보내고 있습니다. 풍화된 기억은 아무리 더듬고 더듬어도 손에 잡히질 않습니다. 감기에 걸린 기억 때문에 마음도 고열로 고생합니다. 심리적 독감에 걸린 상태에서는 우울과 부정적인 자동적 생각에서 빠져나오기가 어렵습니다. 나의 존재감을 인식하고 대인관계에서의 상실감을 회복해야 합니다. 2019년 1월 9일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교 메사추세츠 종합 병원 중독 치료 센터의 베티나 호프너(Bettina Hoeppner) 연구원 등은 '중독자 치료 회복에 있어서 자기 관리가 된 긍정심리 훈련이 도움이 되는가? 온라인 무작위 설문조사(Do self-administered positive psychology exercises..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고양이 심리 고양이가 배를 보여주면, 어떤 심리일까요? 우리도 배부르고 편안하면 편안하게 소파에 누워서 편한 자세를 취합니다. 고양이도 이러한 심리가 있습니다. '편안함', '상대에 대한 신뢰감' 등을 느꼈을 때 뒹굴뒹굴 하면서 배를 보여주게 됩니다. '배(belly)'를 상대에게 보여준다는 것은 나의 가장 예민한 부분을 상대에게 노출하기 때문에, 나는 지금 아무런 무기가 없어요~ 괜찮아요. 진짜 당신을 믿어요. 편해요. 뭐 이런 의미를 전부 내포하게 됩니다. 고양이 심리하지만 이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배를 보여주는 고양이 배를 만지려고 하는 행동입니다. 고양이가 '나는 주인 당신을 신뢰해요~'라며 배를 ..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고양이가 하는 행동심리고양이가 머리를 문지르는 행동, 어떤 심리일까요?고양이가 집에 들어가자마자 사뿐사뿐 걸어아 머리를 종아리쪽에 대고 문지르는 행동을 반복한다면 이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너와 나는 하나야', '너는 나의 소요물~' 이런 뜻입니다. 예전에 동방신기 노래 중에 'I got you~ under my skin~' 이런 노래 기억나세요? 직역하면 나는 너를 내 피부 아래에 넣었다는 의미로 직역되는데요. 진짜 뜻은 너 이제 내꺼야! 이런 뜻입니다. 그러면 고양이는 왜 이렇게 머리를 주인에게 머리를 문지르면서 'You are mine' 당신은 내꼬요~ 이런 의미를 줄까요. 궁금하시죠? 바로 '땀샘(sweat gland)'..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사춘기 심리학, 사춘기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심리적 문제 2018년 ScienceDirect 학회지에 미국 샌디에고 심리학과 Jean Twenge 교수와 조지아나 주립대학교 Keith Campbell 교수는 '아동과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시간과 심리적 안정의 연관성: 인구 조사에 근거한 증거Associations between screen time an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ldren and adolenscents: Evidence from a population-based study)'라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사춘기 심리학 사춘기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심리적 문제 이 논문에서는 2세부..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가족심리학 집단상담 세월이란 지우개는 서럽도록 그리움마저 깨끗이 지워버립니다. 한두 해 지나면서 벌어진 마음문 틈새로 천근같은 무게의 우울도 거뜬히 드나들 수 있게 됩니다. 지나가던 슬픔도 심심할 때마다 들러서 이리저리로 마음방을 흔들어 놓고 도망가곤 합니다. 가족심리학 집단상담 2017년 미국 캔자스 대학교 심리학과 마크 랜도(Mark Landau) 교수팀과 미주리 대학교 심리과학과 제이미 아른트(Jamie Arndt) 교수팀이 왜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 흐르는가: 삶의 과정을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하기(Why life speeds up: Chunking and the passage of autobiographical time) ..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미술치료, 색채심리치료란 무엇인가? 미술치료의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잠시 살펴보겠습니다. 1. 자화상 꼴라쥬2. 인생 꼴라쥬3. 나를 광고하기4. 나의 장점과 단점5. 분노 photo를 이용한 표출 돕기6. 말 주머니를 이용한 꼴라쥬7. 미완성 꼴라쥬8. 내가 변신한다면9. 감정 사전 만들기10. 풍선 터트리기11. 신체 본뜨기(Body tracing)12. self box 만들기13. 가면 꾸미기14. family mobile15. 우리 동네 지도 만들기 우선 1학기 자아개념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해서 목차를 나열해 봤습니다. 앞으로 이 15주에 해당하는 내용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술치료,..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세상 모두가 행복해도 슬픔이 나를 감싸고 눈물로 온몸이 뒤범벅 될 수 있습니다. 행복과 불행 사이를 나비처럼 옮겨 다니면서 행복이 나인지 불행이 나인지 잊어버립니다.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남남이 아니라 그냥 늘 시간 위에 서서 강물처럼 흘러가는 나 자신이라는 것을 확인받습니다. 타인들 틈에 섞여서 나를 잊어버리고 자유로운 익명의 나를 따라 이리 저리 출렁거리며 흔들리며 나의 목소리를 잊어버립니다. 어려서는 대단한 사람이 되고 싶었지만 어른이 되어서는 행복한 사람이 되고 싶다고 아무리 외쳐봐도 생각이 쥐고 놓지 않는 무게만큼 힘들기만 합니다. 쥐고 있는 송곳 같은 그 생각이 마음 한가운데로 정확히 꽃히는 날이면, 한동안 통증을 느낄 수 없을 만..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막막한 심정으로 지내던 어느 날, '시'는 거짓말처럼 나에게 왔다. 뭔가 부족한 표현이다. 신의 선물처럼 왔다고 하는 게 나을까? 아직도 그 감동의 순간을 그려낼 만한 단 하나의 말을 찾지 못했다. 슬픔이나 아픔을 해결하거나 변화할 수 있는 여지조차 없던 상황에 시가 보였다. 아니 시가 나를 보았다. 시가 전달하는 눈빛속에는 지능 지수도, 도덕 지수도, 감성 지수도, 사회성 지수도 의미 없었다. 오직 고통 지수와 행복 지수의 경계선만이 가치가 있었다. 시가 품고 있는 시선은 고통의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에 서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그 이후로 시는 나에게 의사였다. 절망의 사막에서 희망을 찾지 못하고 죽음의 노숙을 준비하던 그때..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육아심리학 소아우울증1. 아이들도 우울증에 걸리나요? 뭐.. 소아우울증이라는 것이 있는 건가요? 소아우울증은 존재합니다. 소아 우울증 증상에는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것에 울음을 터뜨린다던가, 침울해하면서 의욕이 없는 경우, TV를 보면서 여러 가지에 유독 집중을 하는 경우, 재밋거리만 찾거나, 회피하려고 하거나 귀찮아하거나 금방 포기해버리는 경우, 소아 우울증 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름이 우울증이라고 해서 어른과 같은 증상으로 우울증을 드러내지는 않습니다. 아이들은 아직 우울함에 대한 개념을 잘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짜증 내고 공격하는 모습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겉으로 아이를 바라보면 무슨 감정인지 알기가 어려운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