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특정학습장애
- 심리치료
- 김호중할무니
- 독서상담
- 독서심리치료
- 부부의세계
- 시치료지도사자격증
- 상담학용어
- 부부심리치료
- 김호중칼럼
- 신경발달장애
- 대상관계이론
- 부모교육
- 김호중팬클럽
- 이재연교수
- 독서심리상담사자격증
- 김호중사랑의콜센타
- 부부의세계심리분석
- 독서심리상담
- 부부심리상담
- 김호중방송
- 심리학실험
- 시치료
- 부부의세계김희애
- 김호중노래
- 김호중아리스
- 문학심리치료
- 김호중
- 심리상담
- 독서치료
- Today
- Total
목록전체보기 (500)
느루독서심리연구센터(010-2788-3025)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KT텔레캅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년간 명절 연휴 기간 사건사고가 가장 많은 날이 바로 연휴 첫 날에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휴 기간 전체 보안 관제 긴급출동 전체수의 35%에 해당한다. 설 연휴 발생한 전체 사건사고 중 첫째 날이 65%에 발생했다. 명절만 되면 국가 전체가 '고통'을 겪는 것이다. 명절증후군을 겪게 되는 심리적인 이유에 대해서 다각도로 살펴볼 예정이다.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심리적인 이유에서부터 술과 제사 그리고 시어머니와 며느리와 같은 가족의 구조에서 오는 심리적인 문제점까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시어머니와 며느리, 같이 사는 것과 따로 사는 것 중에 어느 상황이 정신 건강에 좋을까? 질병관리..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부모의 머릿속에는 이미 너무 많은 고정관념이 존재합니다. 부모가 가지는 고정관념이 자녀의 삶을 망칠 수도 있습니다. 2006년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교의 연구팀이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를 했습니다. 이 연구는 3년간 진행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여성이 남성보다 수학을 못한다.'라는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였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남성과 여성의 수학 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전혀 없었습니다. 이 연구의 핵심 결과는 '고정관념'이 아무런 차이가 없는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차별성 그 자체를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참가자 여성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의 여성들에게 '여성이 타고나기를 수학 능력이 남성..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낡아버린 기억들이 겨울을 보내고 있습니다. 풍화된 기억은 아무리 더듬고 더듬어도 손에 잡히질 않습니다. 감기에 걸린 기억 때문에 마음도 고열로 고생합니다. 심리적 독감에 걸린 상태에서는 우울과 부정적인 자동적 생각에서 빠져나오기가 어렵습니다. 나의 존재감을 인식하고 대인관계에서의 상실감을 회복해야 합니다. 2019년 1월 9일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교 메사추세츠 종합 병원 중독 치료 센터의 베티나 호프너(Bettina Hoeppner) 연구원 등은 '중독자 치료 회복에 있어서 자기 관리가 된 긍정심리 훈련이 도움이 되는가? 온라인 무작위 설문조사(Do self-administered positive psychology exercises..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태어나면서부터 시간과 함께 살아갑니다. 하루의 시간을 습득하고, 일주일을 배워나갑니다. 그러다 1년의 결이 쌓이면서 시간의 흐름에 생각의 배를 띄워 성숙해 나갑니다. 그럴수록 지나간 과거와 다가오는 미래의 양 날개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현재가 잘 비행할 수 있게됩니다. 몸은 현재에 머물고, 머리는 과거로 달려가 웅크리며 후회하고, 마음은 미래로 뛰어가 불안해하는 모습으로 살아갑니다. 나는 혼자이면서 셋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몸 따로 마음 따로 생각 따로 움직이지 않기 위해서라도 시간의 중심을 가져야 합니다. 2011년에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캐런 위터리치(Karen Winterich) 교수 연구팀이 ' 도움이 되는 희망:..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눈의 무게는 가볍습니다. 하지만 쌓이고 쌓인 눈의 무게는 단단한 가지를 부러트립니다. 관계 회복은 늘 부서지고 다시 세우면서 이뤄집니다. 깔고 앉았던 돗자리 말 듯 습관을 둘둘 말아들고 구석에 박아둘 수가 없습니다. 잘못된 습관은 언제든 몸통과 생각통을 꿰뚫고 튀어나와 버리기에 당혹스러운 것입니다. 2018년에 미시간 대학교의 심리학과 크랙 스미스(Craig Smith) 교수와 옥스퍼드 대학교의 데보라 앤더슨(Deborah Anderson) 그리고채터누가 자폐증 센터의 안나 스트라우스버거(Anna Straussberger)는 '미안하다고 말해: 아이들은 기꺼이 하는 사과와 강압 받아 하는 사과를 구분합니다(Say You're Sorr..
가위눌림 가위눌림.. 도대체 뭘까요? 가위눌림 현상을 경험한 많은 이들은 자다가 깨어나서 보니까 몸이 안 움직여서 정말 두려웠다고 이야기합니다. 또 너무 가슴이 아플 정도로 눌렸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과학으로 왜 그런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의 종류는 몇 가지일까요? 가위눌림수면의 종류는 두 가지입니다. 논렘(Non-Rem) 수면과 렘(Rem) 수면이 그것입니다. 우리가 잠을 자기 시작하면, 거의 1시간 30분 간격으로 논렘 수면과 렘 수면이 번갈아 가면서 이뤄집니다. 그러면 도대체 렘(REM은) 뭘까요? 잠잘 때 '빠르게(Rapid) 눈(Eye)을 움직이는(Movement)'상태가 REM 입니다. 각 단어들의 제일 앞 글자를 살펴볼까요? 빠르게(Rapid)안..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고양이 심리 고양이가 배를 보여주면, 어떤 심리일까요? 우리도 배부르고 편안하면 편안하게 소파에 누워서 편한 자세를 취합니다. 고양이도 이러한 심리가 있습니다. '편안함', '상대에 대한 신뢰감' 등을 느꼈을 때 뒹굴뒹굴 하면서 배를 보여주게 됩니다. '배(belly)'를 상대에게 보여준다는 것은 나의 가장 예민한 부분을 상대에게 노출하기 때문에, 나는 지금 아무런 무기가 없어요~ 괜찮아요. 진짜 당신을 믿어요. 편해요. 뭐 이런 의미를 전부 내포하게 됩니다. 고양이 심리하지만 이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배를 보여주는 고양이 배를 만지려고 하는 행동입니다. 고양이가 '나는 주인 당신을 신뢰해요~'라며 배를 ..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고양이가 하는 행동심리고양이가 머리를 문지르는 행동, 어떤 심리일까요?고양이가 집에 들어가자마자 사뿐사뿐 걸어아 머리를 종아리쪽에 대고 문지르는 행동을 반복한다면 이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너와 나는 하나야', '너는 나의 소요물~' 이런 뜻입니다. 예전에 동방신기 노래 중에 'I got you~ under my skin~' 이런 노래 기억나세요? 직역하면 나는 너를 내 피부 아래에 넣었다는 의미로 직역되는데요. 진짜 뜻은 너 이제 내꺼야! 이런 뜻입니다. 그러면 고양이는 왜 이렇게 머리를 주인에게 머리를 문지르면서 'You are mine' 당신은 내꼬요~ 이런 의미를 줄까요. 궁금하시죠? 바로 '땀샘(sweat gland)'..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반려견과 신체 및 정신건강 아이들과 반려견, 정신적 - 신체적 연관성이 있을까요? 2018년 12월 19일, 과학학회지인 PLOS ONE(http://journal.plos.org)에 반려견과 아이들의 건강에 관련된 논문이 올라왔습니다. 어떻게 하면 아이들을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지 모든 관심을 올인하고 있는 엄마들에게는 좋은 정보가 될 것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총 1278명의 어린이를 오랜 기관 관찰했습니다. 총 10년이 넘는 종단연구였습니다. 이 연구를 주관한 대학교는 스웨덴에 있는 예테보리 대학교 소아과(Department of Paediatrics, Institute of Clinical Sciences, Sahlgrenska..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중년여성의 화병 화병은 영어로도 화병(Hwa-byung)이다. 이 용어는 예일대학교에서 사회정신의학을 전공한 신경정신과 의사인 이시형 박사님이 유학을 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한국의 풍토병인 '화병'이라는 용어를 학회에서 발표하면서 세계 최초로 정신의학 용어로 만들어지고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화병에 걸리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40대에서 50대 중년 여성들입니다. 이들은 아내이자 며느리고 엄마이자 주부라는 가면을 쓰면서 스스로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면서 가슴 앓이를 하게 됩니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문화다 보니 '화병'에 걸리는 중년여성이 많지 않지만, 한국 중년 여성들은 시댁과의 갈등, 남편과의 갈등, 자..